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Wee 프로젝트 발전방안 연구

이용수 140

영문명
A Study on Developmental Plan of Wee Project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김인규(Kim In-Gyu)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11권 제1호, 137~15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델파이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의 학교상담체제인 Wee 프로젝트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학교상담은 1950년대 후반에 시작된 이래로 50여년이 지났지만 2005년부터 전문상담교사를 선발하여 운영하고, 2008년 We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학교상담체제가 본격적으로 구축되게 되었다. 이 연구는 15명의 상담전공 교수와 6명의 Wee 프로젝트 담당 실무자 및 상담자를 대상으로 Wee 프로젝트의 3단계인 Wee 클래스, Wee 센터, Wee 스쿨의 발전방안에 대하여 두차례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각 단계의 운영, 중점 사업, 확대 등에 대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Wee 클래스 운영에서는 학교책임자 인식의 변화, 중점사업으로는 예방, 자문, 교육, 상담, 지도 등의 1차적 서비스와 위기사례를 Wee 센터로 연계, 확대방안으로는 모든 학교에 Wee 클래스를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매년 1,000개씩 신규설치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Wee 센터 운영은 대도시형, 중소도시형, 농촌산간형의 3유형으로 구분하여 교육지원청에서 직영 운영하며, 교통이 편리한 곳에 위치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Wee 센터의 중점사업으로는 개인상담, 집단상담, 심리검사, 전문기관 연계 관련 사업, 부모교육 등이 제시되었고, 확대방안으로는 2012년까지 모든 교육지원청에 설치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Wee 스쿨은 3-6개월 정도의 중기 대안학교로 기숙형과 등하교형을 혼합하여 광역교육청의 직영하고, 대안학교로 인정받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Wee 스쿨은 근교지역에 설치하고, 상담치료, 진로탐색, 수련활동 등의 과목을 중점적으로 운영하며, 15명 미만의 학급으로 운영하고, Wee 스쿨을 마친 후에도 1번은 재입학 할 수있도록 해주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Wee 스쿨은 학생 수에 따라 차별적으로 매년 2개씩 설치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연구의 의의와 향후 과제, 연구의 한계점 등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presentation of developmental plan of Wee project, Korean school counseling system, using Delpi survey methord. School counseling in Korea had begun as guidance teacher at late-1950, and 50 years passed but there were no full-time school counselors before 2005, and school counseling system began to be established at 2008 through Wee project. This study surveyed 2 times 15 professors majoring in counseling, and 6 Wee project officials and counselors about developmental plans of 3 domains of Wee project - Wee class, Wee center, Wee school. The results presented developmental running system, focusing tasks, enlarging plans of each domain. For the development of Wee class, change of school principal s notion about school counseling, differential budget according to size of school, focusing on primary service, and installing Wee class at all school wer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Wee center, 3 types of center, educational office s direct running, differential budget according to size of students or specialized tasks, easy accessible location, and installing Wee center at all regional educational office wer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Wee school, 3 or 6 month term, educational office s direct running, legal status of alternative school, location at suburbs, less than 15 students in a class, 1 time re-entry permission, and installing Wee school according to size of students were proposed. Several tasks for these developments were discussed.

목차

Ⅰ. Wee 프로젝트의 현황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인규(Kim In-Gyu). (2013).Wee 프로젝트 발전방안 연구. 교육종합연구, 11 (1), 137-156

MLA

김인규(Kim In-Gyu). "Wee 프로젝트 발전방안 연구." 교육종합연구, 11.1(2013): 137-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