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협동학습상황에서 학습자들의 공동체의식, 성취목표지향성 및 공유된 목표 간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32

영문명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ense of community, goal orientations, and shared goals in their collaborative group work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김명숙(Myoung-sook Kim) 김정인(Jung-In Kim) Marilla D. Svinicki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6권 제1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집단 협동학습에 참여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HLM(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이용하여 개인의 성취목표 지향성과 소집단내의 공동의 목표(shared goal) 및 소집단학습에 대한 태도가 학생들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미국 남서부에 위치한 한 종합 대학에서 교육학 관련수업을 수강하는 학부생 174명이었으며, 학생들은 한 시간 반 동안 소집단으로 구성되어 두 개의 퍼즐을 함께 푸는 실험 상황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소집단 협동학습에 참여하기전에 이전 경험에 근거하여 소집단 협동학습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였으며, 협동학습 후에 개인의 성취목표 지향성과 소집단내의 공동의 목표(shared goal) 및 소집단내에서 지각하는 공동체의식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상관분석과 HLM을 이용한 다층자료 분석을 하였으며, 종속변인으로는 공동체의식의 두 하위요인인 공동의 관심(shared interest) 요인과 구성원간의 존중심 및 유대감(Respect and connectedness) 요인이었다. 다층자료 분석에서 제1수준(학생) 변인은 네 가지 유형의 성취목표지향성이었고, 제2수준(소집단) 변인은 소집단 내 공동의 목표(shared goal)와 소집단 협동학습에 대한 태도(attitude toward group work)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소집단 협동학습상황에서 지각하는 공동체의식은 개인의 성취목표지향성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의 관심요인의 경우 숙달목표와 수행-접근목표지향성으로부터 정적영향을, 전략적 노력목표(strategic effort goal orientation)로부터 부적영향을 받은 반면, 존중심 및 유대감 요인의 경우 숙달목표와 수행-회피목표로부터 정적영향을, 수행-접근목표와 전략적 노력목표로부터 부적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이 소집단내에서 갖는 공동의 목표(shared goal) 변인은 제1수준 변인인 개인의 성취목표지향성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 구성원간의 존중심 및 유대감요인의 유의미한 예측변인이었으나 공동의 관심요인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집단 협동학습에 대한 태도 변인은 공동체의식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explored how the college students’ sense of community in their group work is predicted by their individual level variables (students’ individual academic goal orientations, such as mastery,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and strategic effort goal orientations) and group level variables (students’ shared goal and attitude toward group work) in a laboratory-based group work context. The results of HLM analyses showed that each of students’ individual level goal orientation had a differential relationship with their two distinct factors of the sense of community, which are respect and connectedness factor and shared interest factor.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shared goal at the group level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respect and connectedness factor of the sense of community but not of shared interest factor of the sense of community, af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ir individual goal orientations. Meanwhile, students’ attitude toward group work was found to be unrelated to their sense of communit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sion
Ⅵ. Limitation and Future Direct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숙(Myoung-sook Kim),김정인(Jung-In Kim),Marilla D. Svinicki. (2008).협동학습상황에서 학습자들의 공동체의식, 성취목표지향성 및 공유된 목표 간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교육종합연구, 6 (1), 1-26

MLA

김명숙(Myoung-sook Kim),김정인(Jung-In Kim),Marilla D. Svinicki. "협동학습상황에서 학습자들의 공동체의식, 성취목표지향성 및 공유된 목표 간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교육종합연구, 6.1(2008):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