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졸 후 후기 청소년의 진학 및 취업 유예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15

영문명
The impact of postpone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on life satisfaction among late adolescents after high-school graduation: An application of 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 analysis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전하람(Jeon, Haram)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28권 제3호, 129~15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의 삶 만족도에 고졸 후 진학 및 취업을 유예하는 것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질적 처치효과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통계적인 검증을 하는 데 주 목적이 있다. 한국 아동청소년패널 조사 중 2016년 2월 고등학교를 졸업한 중1 패널 1,629명을 활용하여 고졸 후 진학 및 취업 유예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을 적용해 규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경향점수를 도출하여 처치 전 이질성, 즉 선택편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에 더해 진로선택 유예 가능성에 따라 진학 및 취업 유예가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것이라는 처치효과의 이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질적 처치효과 분석기법 중 층화-다층 모형(Stratification-Multilevel Method)을 활용하여 경향점수에 따른 처치효과 크기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고졸 후 진학 및 취업 유예는 남학생, 직업계고등학교 졸업생, 교육포부가 낮은 청소년, 도시 거주 청소년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리고 진로유예는 후기 청소년 삶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진로유예가 삶 만족도에 미치는 부적 효과는 진로유예 가능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가능성이 높은 집단에서 유의미했고 그 부적 효과의 크기도 진로유예 가능성 증가에 따라 커지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후기 청소년 중 진로유예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추가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clarifying the impact of the postpone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after high-school graduation on life satisfaction among late adolescents, employing 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 analysis.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1,629 high-school graduates were analyzed to address the determinants of the postpone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in order to estimate propensity scores. With the propensity score analysis, stratification-multilevel method for 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 hypothesis was conducted. 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much stronger associ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the postpone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among the group who were more likely to postpone their careers after high-school graduation than among other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adolescents who are men, graduated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no college aspiration, and live in urban areas were more likely to postpone their decision-making on careers than their counterparts, respectively. And the postpone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mong late adolescents and particularly the negative effect was stronger among the group showing higher propensity scores of being treated into the postponement of their career.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ddress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하람(Jeon, Haram). (2018).고졸 후 후기 청소년의 진학 및 취업 유예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8 (3), 129-158

MLA

전하람(Jeon, Haram). "고졸 후 후기 청소년의 진학 및 취업 유예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8.3(2018): 129-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