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립 혁신고의 학교문화변동

이용수 338

영문명
Cultural change in a public innovative highschool: From “Community” to “excellence”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김미숙(Misook Kim) 상종열(ChongRyel Sang)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28권 제3호, 1~2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수도권 낙후지역에 위치한 공립혁신고등학교(새롬고)를 대상으로 문화기술지방법을 사용하여 학교문화의 변동과정을 탐구하였다. 새롬고는 혁신학교로 지정된 이후 교사의 자발성과 민주적 의사결정과정을 기반으로 학교공동체를 만들고자 노력하였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어려운 삶의 조건을 이해하면서 학생을 품어주고 참여 주체로 만드는 생활교육과 수업을 하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그런데 지역의 개발로 중산층이 유입되고 입시를 중시하는 교장이 부임하면서, “학교수준”을 높이기 위한 ‘수월성 교육’이 강조되었다. 성적 좋은학생들을 집중관리하고, ‘EBS 영어청취’ 교실을 개설하고, 자율학습을 강하게 권고하고, 학교 내 대안교실에서 지도했던 “문제 학생”들을 외부로 위탁교육을 보냈다. 이 과정에서 교사회의와 토론에 기초한 민주적 의사결정은 약화되었다. 공동체 가치를 추구하던 교사들은 입시교육 강화와 권위적 운영방식에 대하여 이의를 수차례 제기하였음에도, 교장이 수용하지 않자 대거 학교를 떠났다. 구성원들은 신도시 개발과 구도심 재개발이 완료되면 중산층거주자들이 더욱 증가하여서 입시중심의 ‘수월성’ 문화가 강화될 것이라고 인식했다. 새롬고 사례는 대항문화로서의 공동체문화가 학교의 지배문화로 정립되기 위해서는 전체 학교 구성원 간의 깊은 공감대와 유대 그리고 사회구조의 변화가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investigation traces cultural changes in an innovative high school (i.e., Sae-rom school) located in the underdeveloped metropolitan area. Innovative schools, a central policy of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ttempt to overcome the problematic exam-oriented schooling and top-down school innovation. Teachers and students of Sae-rom school make an effort to create a “community culture” which values student led learning, individual caring, democratic governance, and collectivity. However, a new principal brought changes to the school by pursuing “excellence education” which emphasizes college admission of higher achieved. Such changes lead to conflicts with teachers and students who were dissatisfied by undemocratic decision and exam-oriented education. Teachers who supported for community culture left the school since their demand was not accepted. In summary, the once emergent community culture of Sae-rom innovative high school has failed to replace the exam-oriented school culture, which has long been the dominant educational culture of South Korean society. This case illustrates that, in order to maintain community culture as a sustainable and not temporarily emergent culture, it is important to build a shared vision and solidarity among the principl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with changes of social struc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새롬고의 문화변동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숙(Misook Kim),상종열(ChongRyel Sang). (2018).공립 혁신고의 학교문화변동. 교육사회학연구, 28 (3), 1-29

MLA

김미숙(Misook Kim),상종열(ChongRyel Sang). "공립 혁신고의 학교문화변동." 교육사회학연구, 28.3(2018): 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