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경증적 증상 환자들의 자기-불일치와 정신병리의 관계 - 자기 - 불일치 이론의 임상적 적용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이용수 121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Psychopathology in Patients with Neurotic Symptoms*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Self-Discrepancy Theory -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조용래 김선태 표경식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35권 제3호, 664~677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05.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 The main purpose o 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psychopathology in patients with neurotic symptoms in order to explore the
clinical applicability o f Higgins (1987) self-discrepancy theory.
Methods : Subjects were 71 (male : 45,female : 26) patients with dysthymic disorder, anxiety
disorder, somatoform disorder, adjustment disorder, or eating disorder diagnosed with DSM-IV.
After all the subjects different self-cocepts were measured with the Selves questionnaire, their
different kinds o f self-discrepancy scores were sco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Higgins
(1987),and their various psychiatric symptom dimensions(psychopathology) were measured
with BAI, BD I, and SCL-90-K
Results :
1) All o f the interscorer agreements for four different kinds o f self-discrepancies were very
high, and the intercorrelations among these were all significant.
2) Total self-discrepanc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st o f psychiatric symptom
dimensions, and thus this result supports the generality hypothe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self-discrepancy and psychopathology.
3) In simple correlation analyses, whereas overall actual-ideal discrepancy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anxiety, i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rpersonal anxiety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 dimension as well as depression. These patterns of correlations were also identified in
both actul-ideal/own discrepancy and actual-ideal/other discrepancy, but partial correlations
between all of the actual-ideal self-discrepancies and psychopathology were not significant.
Therefore, these results partly support the specificity hypothe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ctual-ideal discrepancy and depression.
4) In partial correlation analyses, actual-ought/own discrepanc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th general and interpersonal anxiety, but was not associated with depression. However,
both overall actual-ought discrepancy and actual-ought/other discrepanc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st o f psychiatric symptom dimensions except phobic anxiety. Thus, these
results provide mixed support for the specificity hypothe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ctual-ought discrepancy and anxiety.
Conclusion : The results o f this study provide general support for self-discrepancy theory,
and provide suggestions for its clinical applicability in understanding and treating patients with
neurotic symptoms.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연 구 결 과
고 찰
요 약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혈액투석환자와 일반인의 자살에 대한 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 신경증적 증상 환자들의 자기-불일치와 정신병리의 관계 - 자기 - 불일치 이론의 임상적 적용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 정신분열병 환자의 음성 증상과 혈장 세로토닌 농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예비 연구
- 주제정의검사(Defining Issues Test)를 사용한 비행청소년의 도덕발달에 대한 연구
- 흉통과 생활변화,대처행동양식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 관상동맥조영술을 받은 환자들을 중심으로 -
-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향정신약물에 의한 지속발기증 1례
- 음성증상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Haloperidol 단독치료와 Carbamazepine과 Haloperidol, Valproic acid와 Haloperidol 병합치료간의 비교
- 정신분열병 환자의 출생월에 관한 연구 : 성별,정신병 가족력 및 손잡이간의 관계
- Chlorpromazine으로 유발된 음경지속발기증 1례
- 주정 의존 환자의 충동성 및 스트레스 내인력
- 정신분열증환자의 혈장 Homovanillic Acid 농도와 치료반응과의 관계
- 금단증상을 가진 알코올리즘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 한국인이 생각하는 나르시시즘(Narcissism)의 개념에 대한 예비연구
- 정신의료시설 입원 /입소환자의 재원 적절성 평가 도구 개발 연구
- 精神分裂症에서 腦梁의 構造的 異常 : 腦磁氣共鳴象 硏究
- 당뇨병과 관련된 정신병리 -정신증상,특히 우울증상을 중심으로-
- 신경증 환자의 성격특성에 따른 순환 자연 살세포의 백분율 변화의 연구
- 흰쥐의 중추성 Serotonin 고갈이 강제수영 중 부동자세 시간,불안 및 수동적 회피 학습에 미치는 효과
- 소아의 손잡이와 문제행동
- 靑少年 犯罪類型과 韓國 家族形態間의 關係
- 판탐지현상의 임상적 및 정신의학적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ning in Life Scale for Cancer Patients
- Diminished Compensatory Energy Production Following Hypoxic Stress in the Prefronta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Among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 Prenatal Mental Health and Its Stress-Process Mechanisms During a Pandemic Lockdown: A Moderated Parallel Mediation Mode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