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점은행제 참여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A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 중년 여성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용수 63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영주 김병찬
- 간행물 정보
- 『Andragogy Today』제19권 제3호, 179~20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25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점은행제에 참여하는 중년 여성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점은행제 참여 배경과 참여 과
정, 학점은행제를 통한 성취 목표를 살펴보고 학점은행제 제도의 발전 방안에 대해 탐색하고자 시
행되었다. 이에, 고등교육 학습기회의 소외 등으로 학업을 이어갈 수 없었던 여성들이 이제는 학점
은행제의 중요한 교육 주체가 되고 있다는 것을 감안해 볼 때, 중년 여성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
점은행제 참여 과정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은 타당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98년 3월 학점은
행제가 실시될 때부터 평가인정을 통해 학습과정을 운영해온 서울시 소재 A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의 중년 여성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점은행제 참여과정과 그 의미를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탐구하
였다. 연구결과 중년 여성 학습자들이 보이는 학점은행제 참여과정의 양상은 크게 ‘마음 속 꿈을 위
하여’, ‘배움의 고통과 행복’, ‘수업에 따라 다르다’, ‘서로 다른 눈’, ‘진짜 미술 전공자 되기’로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점은행제의 발전 방안으로는, 본 제도에 대한 인식이 단순히 학위
취득을 위한 것에 머무르지 않도록 그 시선을 바꾸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자아실현과
자기계발의 측면이 제외된 채 학점은행제는 곧 학위 취득이라는 시선을 극복할 수 있는 장치가 마
련되어야 한다. 또한 졸업 취득 학점을 상향 조정하는 방안 등을 마련하여 학습자들이 충분히 수업
내용을 습득하고 전공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과정
Ⅳ. 학습자의 학점은행제 참여과정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술 공론장의 학습공간적 의미와 가능성 탐색 - 2012부산비엔날레 《배움의 정원(Garden of Learning)》을 중심으로 -
- 자원봉사자로 국제개발협력활동에 참여하는 은퇴 시니어를 위한 세계시민교육의 전망 -성인교육학의 관점에서
- 성인교육에서의 평가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유가(儒家)적 관점에서 본 온정적 합리주의(CR) 리더십 패러다임의 특성에 대한 고찰
- 생산직 근로자의 학습조직 수준과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내용과 상징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국내 경력성공 연구동향 분석
- 학점은행제 참여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A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 중년 여성 학습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