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제와 허구가 병존한 嘔血臺 고사의 탄생 배경

이용수 52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중국문화학회
저자명
朴現圭
간행물 정보
『중국학논총』제44호, 173~19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0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조선 지식층 사이에 널리 전해오는 嘔血臺 고사가 발생한 실체와 과정을 고찰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구혈대 고사는 명과 후금(훗날 청)이 寧遠(현 요동 興城)에서 격돌한 전쟁, 소 위 寧遠大捷을 배경으로 삼았다. 고사 속에서 후금 누르하치(奴爾哈赤)가 대군을 이끌고 영원성(현 흥성)을 공략했다가, 명 袁崇煥의 지략과 용맹에 막혀 대패를 당하자 울분에 쌓여 피를 토해내었고, 나중에 사망했다고 한다. 이때 조선 사절 의 일원으로 온 역관 韓瑗이 전쟁 상황을 직접 목격하는 증인으로 등장했다. 구혈대 고사는 李星齡의 ≪春坡堂日月錄≫에 처음 기술된 이래 조선 지식층 사이에 널리 알려졌고, 특히 사행에 나선 조선 사절은 노정에 소재한 영원을 지 나가며 구혈대 고사가 발생한 장소를 확인하곤 했다. 영원성의 동북쪽에 자리한 首山에 명 정통 연간에 세워진 봉화대가 있고, 이곳에서 내려다보면 영원성이 한 눈에 들어온다. 후대에 들어가서 구혈대 고사는 주인공이 누르하치에서 홍타 이지로 바뀌는 등 여러 형태로 변형되며 계속 발전해 나갔다. 조선 지식층이 구혈대 고사를 들먹이는 것은 굴욕적 역사를 안긴 청나라에 대해 거부감을 표시하고 명 원숭환의 승리를 통해 자신의 승리인양 일종의 대리 만족에서 나왔다. 구혈대 고사에는 실제와 허구가 병존한다. 고사에 나타난 전쟁 모습은 역사적 실체와 가깝지만, 이때 조선 사절과 역관이 출현했다는 것은 허 구이다. 원형 고사 또는 변형 고사에서 언급된 실제 역사, 즉 1626년(천계 6; 천명 11)의 영원대첩 또는 1627년(천계 7; 천총 1)의 영금대첩 때는 연행 노정 상 조선 사절이 영원과 금주로 들어올 수가 없었다. 1629년(인조 7)에 진하변무 사 李? 일행이 다시 영원을 들렀고, 이때 사절의 일원인 역관 한원이 원숭환과 몇 차례 만났는데, 한 번은 금주로 가서 원숭환과 함께 군사 훈련과 시설물을 둘러보았다. 이때 한원이 목격한 상황이 조선 지식층으로 사이에 전해졌고, 나중 에 후대 사람에 의해 확대 생산하여 구혈대 고사가 탄생하게 된 배경으로 보인 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嘔血臺고사의 출현과 변이 양상
3. 嘔血臺고사의 배경지 首山봉화대
4. 진하변무사 李?의 사행 활동
5. 상통사 韓瑗과 袁崇煥의 만남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朴現圭. (2014).실제와 허구가 병존한 嘔血臺 고사의 탄생 배경. 중국학논총, (44), 173-197

MLA

朴現圭. "실제와 허구가 병존한 嘔血臺 고사의 탄생 배경." 중국학논총, .44(2014): 173-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