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國 西海岸의 참조기 漁業攷-韓國沿岸에 回遊하던 참조기 무리의 生物學的 漁業資源學的 同定-

이용수 32

영문명
The Reconsideration of Yellow Croaker Fishery in Western Coast of Korea-Biological and Population Dvnamicalldentification of Yellow Croakers which Migrated Coast of Korea
발행기관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저자명
배수환(Soo-Whan Bae) 박종수(Jong-Soo Park) 배석제(Seok-Je Bae)
간행물 정보
『수산과학연구』제10호, 39~5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해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4.12.0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주도 주해에서 월동한 참조기는 매년 봄철의 수온상승과 함께 산란을 위하여 대군을 이루면서 한국의 서해안으로 몰려 왔으므로, 이것을 잡는 어업이 아득한 예부터 크게 발달하여 어기가 되면 전국의 참조기잡이 어선이 모이게 되어, 최성기 때는 일본어선까지 참가하여 매년 6천척 이상이 이 어업에 종사했다고 한다. 그 후 서일본 일대의 저인망어선의 극성으로 월동장에서의 남획이 거듭되면서 회유자언이 급속도로 감소되어 갔으며, 1970년대초부터는 회유의 두절과 함께 참조기의 연안어업은 소멸되어 전설로만 남게 되었다. 이 논문은 남아오는 각종문헌에 의하여 최성기 때의 연안 참조기어업의 진상을 재구현해 보면서, 이 어업으로 파생된 여러 가지 특기사항도 분석, 고찰해 보았다. ① 우리 민족은 어느 민족보다 참조기에 대한 기호성이 강하다. 그것은 참조기는 태고때부터 산란을 위하여 남해안과 서해안으로 봄부터 여름사이에 물밀 듯이 몰려왔기 때문에 쉽게 잡을 수 있어 어느 물고기보다도 친숙하고, 자주 이용해 온 때문일 것이다. 근세까지 참조기 잡이를 주목적으로 간석지에 설치하던 어양(어전)어구의 이름이 고구려의 건국초기인 주몽의 탄생설화에 나오는 것으로도 우리 민족이 태고때부터 참조기를 잡아 이용했을 가능성은 크다. ② 한국 서해안의 참조기어업은 산란하기 위하여 떼지어 움직이는 참조기를 잡는 어업이다. 참조기떼를 ?라 움직이는 이동식 어업이었다. 즉 고기떼가 이동을 해가니 어선이 움직이고, 어선이 이동하니 어획물을 사기 위하여 따라다니는 출매선이 이동하고, 어선이나 출매선이 이동하니 선원 상대의 술장수, 매춘부, 노름꾼, 좀도둑, 잡상인, 참조기의 가공업자까지 모두 움직이게 된다. 이것을 파시 또는 파시평(움직이는 난시장)이라 한다. 즉, 이동성 어업은 봄에 전라도의 칠산탄에서 시작되어, 가을에 황해도의 연평도에서 이루어지면서 이별하게 된다. 이리하여 전세계에서도 희귀한 이동성 어업에 따른 파시 선도유지 목적의 빙장운반법이 생겨 났으며, 세종실록의 기록으로 보아 그 연원은 고려때로 거슬러 올라 가는 것 같다. ③ 한국 연안에서의 참조기잡이 어구로는 주목(또는 주목), 중선, 궁선, 정선, 외줄낚시(일목조) 등이 쓰였는데, 대부분이 서해의 강한 조석류를 이용한 원시적인 그물들이었다. 19세기말경부터는 일본인들도 안??망의 그물의 효능이 좋았으므로 후기에는 한국인들까지 안??망을 쓰게 되었다. ④ 대표적인 참조기 어장은 전라도의 칠산탄과 황해도의 연평도, 평안도의 대화도 근해였으나 이는 대표적인 어장일 뿐이고, 그 중간해역인 서해 전연안 및 남해 전연안이 어장이었다. ⑤ 참조기가한국 연안으로 회유해 오는 것은 산란 때문이며, 산란이 끝나면 군집행동에서 이탈하여 가을까지 황해 전해역에 널리 흩어져 서식하게 된다. ⑥ 참조기잡이는 초기에는 외줄낚시나 어양어구만 쓰다가 주목망이나 중선망이 등장하면서 어획물이 늘어난 관계로 현장에서 처리해야할 필요 때문에 출매선제가 생겨났고, 그 후 선도유지의 필요에서 자연빙을 이용한 빙장운반선이 생겨난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group of yellow croaker which completed passing the winter season at the adjacent sea were crowded in rush to west coast of Korea in order to spawn accomplishing the large quantity group with the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in spring. Accordingly, the fishery catching yellow croaker had been developed from the time of middle age at the fishing season. The fishing boat had been gathered at the all over the country in fishing ground. At the 19th century, the Japanese fishing fleet had been participated in fishing industry of yellow croaker. about 6,000 fishing vessels were employed in yellow croaker fishing in golden age. thereafter, by means of appearance of bull trawler, the yellow croaker population has been decreased rapidly on account of overfishing passing winter season. The migration of yellow croaker had been interrupted in the early age of 1970 year. It remains on the traditionally. This thesis deals with the actual aspect of yellow croaker in the golden age by dint of various the yellow croaker fisheries aspect. (1) This fishery catches the yellow croaker move into the ground pursuing the crowds of fish school. Accordingly, as the fish carrier and fishing boat also move into fishing ground. The Pasi which were introduced at the time of middle age were transferred due to the fishing aspect of yellow croaker. (2) Most of fishing gear was the Jumok net and Jungsun net and Gungsun net at the time of early stage utilizing rapid tidal current. afterward, most fishing net had been transferred the stow net. (3) The typical fishing ground of yellow croaker was Chilsan sea in Cheunla province, Yeonpyung Is. in whang hae province, Daewha Is. in Pyungan province. (4) On account of quantities fishing of yellow croaker, the fish carrier(Chulgosun) regime has been appeared purchasing the fishes in fishing boat in situation. Also, the fish freezing boat has been appeared using natural ice stowed in winter season. This ice has been accumulated at the semi-under ground and ice chamber for the purpose of fish trade.

목차

Ⅰ. 서론
Ⅱ. 한국 연안에 회유하던 조기 무리의 동정
Ⅲ. 참조기의 연안어업시대 회고
Ⅳ. 분석과 고찰
Ⅴ. 요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수환(Soo-Whan Bae),박종수(Jong-Soo Park),배석제(Seok-Je Bae). (1994).韓國 西海岸의 참조기 漁業攷-韓國沿岸에 回遊하던 참조기 무리의 生物學的 漁業資源學的 同定-. 수산과학연구, (10), 39-57

MLA

배수환(Soo-Whan Bae),박종수(Jong-Soo Park),배석제(Seok-Je Bae). "韓國 西海岸의 참조기 漁業攷-韓國沿岸에 回遊하던 참조기 무리의 生物學的 漁業資源學的 同定-." 수산과학연구, .10(1994): 39-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