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W. B. 예이츠와 한국근대시의 자연: 정지용과 현대 시인들의 시

이용수 0

영문명
W. B. Yeats, Nature, and Modern Korean Poetry: Jeong Ji-yong and Some Later Poets
발행기관
한국예이츠학회
저자명
곽효환(Hyo Hwan KWAK)
간행물 정보
『한국 예이츠 저널』36권, 221~23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예이츠의 시세계, 특히 초기시에는 낭만주의와 상징주의가 자리잡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자연’이 자리해 있다. 예이츠에게 있어 자연은 ‘자연에 대한 동경과 모사’와 ‘자연과의 대립 및 의식의 우위’, 즉 자연 친화적 세계와 자연부정의 세계라는 진폭 안에서 인식되었으며 그의 시는 이를 형상화하거나 극복하려는 긴장의 궤적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같은 예이츠의 자연에 대한 인식과 시세계를 한 축으로 놓고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자연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근대시의 완성에 가장 큰 역할을 한 대표적인 시인인 정지용의 시세계에 나타난 자연을 먼저 검토하였다. 그리고 현재 왕성히 활동하고 있는 시인들의 시세계에 나타나 자연을 각각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In Yeats’s early poetry, the nature imagery is central in his poetic language, which also belongs to the tradition of Romanticism and symbolism. Yeats perceives nature to lie between Nature-friendliness and Nature-denial−“the admiration and imitation of Nature” and “the alienation from Nature and the superiority of consciousness”−and his poetry has followed the trace of embodying and overcoming the tension between the two modes of perception. Thus, the paper discusses nature in modern Korean poetry on an axis of Yeats’s perception of nature. First, it reviews nature in the work of Jeong Ji-yong, who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completing modern Korean poetry and further discusses concepts of nature in the poetry of contemporary Korean poet.

목차

I. W. B. 예이츠와 자연
II. 은일과 합일의 세계−정지용의 산수시
III. 하나의 세계, 우주로서의 자연−신달자, 이선식의 시
IV. 비움과 퍼 올림의 순환의 서사−나의 시와 자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효환(Hyo Hwan KWAK). (2011).W. B. 예이츠와 한국근대시의 자연: 정지용과 현대 시인들의 시. 한국 예이츠 저널, (), 221-233

MLA

곽효환(Hyo Hwan KWAK). "W. B. 예이츠와 한국근대시의 자연: 정지용과 현대 시인들의 시." 한국 예이츠 저널, (2011): 221-2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