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업별 가구주의 자산선택 및 자산운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Asset Selection and Asset Management of Householders by Occupation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서경숙(Kyeong Sook Seo)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第95輯, 37~5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업별 가구주의 자산선택과 자산운용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통계청의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직업별 자산·부채 현황을 살펴보고, 가구주의 자산선택 및 자산운용 선호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영업자 가구주는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지만 동시에 높은 부채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임시·일용근로자 가구주와 무직자 가구주는 다른 가구주에 비해 낮은 자산과 부채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동산 투자의향은 상용근로자 가구주가 가장 높았고, 여유자금 운용방법은 모든 직업군에서 금융자산투자에 대한 선호가 두드러졌다. 특히, 금융자산투자는 주로 은행예금을 선택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자영업자 가구주는 상용근로자 가구주에 비해 금융자산투자와 부동산투자보다 부채상환을 선호할 가능성이 높았고, 다른 직업군 가구주는 상용근로자 가구주보다 두가지 투자에 대한 선호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에 따른 자산 및 부채 구조의 불균형 문제와 자산의 선택과 운용에 대한 접근 차이를 시사하며, 자산 증식을 위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소득 안정성, 대출 접근성 등 경제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을 포함한 보다 정교한 연구도 필요하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By analyzing the asset selection characteristics of householders by occupation and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asset management preferences, we aim to understand the impact of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n asset selection and management behavior, and deriv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is analysis to improve the soundness of household asset composition.
(2) RESEARCH METHOD
Data from the 2023 Household Finance and Welfare Survey were used, and the sample consisted of 18,094 householders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ssets and liabilities of householders, and cross-tabulation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asset selection and management of householders by occupation.
(3) RESEARCH FINDINGS
The asset and debt structure of households by occupation was analyzed, and differences in asset selection and management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Self-employed households had the highest assets but also had high debts, and temporary and daily worker households and unemployed households tended to have low asset sizes and low economic stability. In addition, the willingness to invest in real estate was the highest among permanent worker households, and differences in how to manage spare funds by occupation were also observed, emphasizing the need for policy support.
2.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assets and li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 occupation of the householders, and that these factors affect asset selection and asset prefere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