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후변화에 따른 동해안 산불 발생 양상 변화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Changes in Forest Fire Occurrence Patterns along the East Coast due to Climate Change
발행기관
국가위기관리학회
저자명
박준하(Jun Ha Park)
간행물 정보
『국가위기관리학회보』제10권 - 제14권 제1호, 13~20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2012~2021년) 강원 동해안 지역의 산불 발생과 기후변화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산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RCP)를 적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산불 발생과 기후변화 요인 사이의 유의성 분석으로 산불 발생확률을 예측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계절적 특성에 따른 봄철 기후변화가 산불 발생에 가장 두드러진 영향을 미쳤다. 산불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높은 기온, 강한 바람, 그리고 낮은 상대습도로, 이들은 산불의 발생과 확산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최근에는 동해안에서의 산불 발생 경향이 점차 대형화되고 동시에 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앞선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계절적 특성과 지형적 영향으로 겨울부터 봄까지 산불 발생에 유리한 조건을 가진 강원 동해안 지역은, 봄과 가을철에 다른 지역에 비해 산불 발생 건수가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분석은 과거와 현저히 달라진 동해안 산불 발생 경향의 근본적 원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선제적인 예방정책과 효과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나아가, 기후변화에 따른 산불 예방과 대응에 고도화된 정책 마련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st fires in the Gangwon East Coast region and climate change over the past decade (2012-2021). By applying climate change scenarios (RCP) affecting forest fire occurrence and conduct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 aimed to predict the probability of forest fire occurre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climate change has a major impact on forest fires, particularly during the spring season, which is the most pronounced period for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on forest fire occurrence. Factors such as high temperatures, strong winds, and low relative humidity, which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forest fire occurrence and spread, were identified. Additionally, recent trends in forest fires along the East Coast have shown an increase in both the scale and frequency, interpreted as being influenced by climate change. Particularly, the Gangwon East Coast region, due to its seasonal and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exhibits favorable conditions for forest fire occurrence from winter to spring, resulting in significantly higher forest fire occurrence rates compared to other regions during spring and autumn. Through this analysis, we anticipate contributing to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causes of forest fires and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proactive prevention policies and effective response systems. We hope that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policies for forest fire prevention and response, tailored to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경향
Ⅲ. 연구설계 및 예상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함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준하(Jun Ha Park). (2024).기후변화에 따른 동해안 산불 발생 양상 변화 연구. 국가위기관리학회보, (), 13-20

MLA

박준하(Jun Ha Park). "기후변화에 따른 동해안 산불 발생 양상 변화 연구." 국가위기관리학회보, (2024): 13-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