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구개발 투자 및 보조금의 지역 거시경제 효과성 분석
이용수 12
- 영문명
- Analyzing Regional Macroeconomic Effectiveness of R&D Investment and Government Subsidies
- 발행기관
- 한국경제발전학회
- 저자명
- 이준영(Juneyoung Lee)
- 간행물 정보
- 『경제발전연구』第30卷 第3號,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도별 연구개발 투자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보조금이 지역 경제성 장 및 균형발전(수도권-비수도권 간 경제적 격차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시도·연 도별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론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기존 횡단면 패널 경제성장 회귀분석이 지닌 계량경제학적 이슈들을 고려하여, 신고전 파 경제성장 이론의 조건수렴 모형에 기초한 구조적 벡터자기회귀(SVAR) 모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지역별 연구개발 투자의 GRDP 대비 비중 증가 는 지역 경제성장을 촉진하고, 수도권 지역과의 경제성장 격차를 완화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반면, 국가연구개발사업 보조금의 GRDP 대비 비중의 변화는 지 역 경제성장 및 균형발전에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확인하지 못하였 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경제성장을 촉진하고자 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과 수 도권-비수도권 간 격차 완화의 지역 균형발전을 추구하는 지역혁신 정책의 관점 에서 지금까지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중 상대적으로 정책효과가 낮은 사업이 존재 함을 의미한다. 지역 경제성장·균형발전 관점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 보조금의 효 과를 분석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미시적 차원의 엄밀한 실증분석을 통해 상대적 으로 정책효과가 낮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식별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는 학술·정책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s of regional R&D investment and government subsidies on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economic disparities between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by utilizing regional yearly panel data. In particular, this study introduces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SVAR) model based on conditional convergence of neoclassical growth theory, considering econometrical issues related to conventional growth regression analyses. The study finds that the increase in R&D investment of non-capital areas measured by its ratio to GRDP accelerates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mitigates the economic disparities between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However, government R&D subsidy to those regions shows no empir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gional economic growth or economic disparity between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On the aspects of reducing regional disparity between capital and non-capital area, this study’s empirical finding is an indicative of the existence of less ‘opportunity cost-effective’ portions in government R&D subsidy programs, and thus further micro-level analyses on the policy effectiveness of government R&D subsidy programs is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실증분석 모형 및 자료
Ⅳ. 실증분석 결과 및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소득원 다각화와 사회적 자본이 농가소득에 미치는 영향: 경영주 연령과 농가규모별 차이를 중심으로
- 식품 제조기업의 생산성 격차와 성장의 문제
- 수산업관측사업의 사후적 사회후생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