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강우발생에 따른 RDII 분석시 수위-유량 환산에 관한 연구
이용수 8
- 영문명
- An Analysis of Rainfall-Derived Infiltration and Inflow Using Water Level-to-Flow Convers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동준(Dong Jun Kim) 유다해(Da Hae Yu) 송양호(Yang Ho Song) 이정호(Jung Ho Lee)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4권 6호, 81~8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천시에 지하수위 상승과 연결관 및 맨홀 접합부의 결함은 분류식 하수관로의 유입수(Rainfall Derived Infiltration and Inflow, RDII)를 증가시켜, 계획오수량을 초과하고 하수도에서 분류식하수도월류수(Separate Sewer Overflows, SSOs) 발생을 증가시킨다. 하수도 시스템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소유역 내 RDII 유입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청천 및 우천 시에 오수량을 장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유량계 설치와 수위계 설치 비용의 차이로 인해 많은 지자체에서는 비용이 더 저렴한 수위계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는 유량 파악의 정확도를 제한하는 요소로써 작용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계측 수위 데이터를 활용하여 유량을 추정할 수 있는 환산 방법론을 수립하고 인근 계측유량자료로 이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수위-유량 환산방법은 계측기 설치의 편리성 및 예산적인 문제로 유량계 설치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수위계를 설치하여 수위자료를 이용한 수위-유량 환산 방법으로써 사용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During rainfall, the rise in groundwater levels, coupled with defects in pipe connections and manhole joints, increases Rainfall-Derived Infiltration and Inflow (RDII) in separate sewer systems. This results in exceedances of planned wastewater volumes and a surge in Separate Sewer Overflows (SSOs). To implement effective measures in the sewer system, it is crucial to monitor the long-term sewage flow under both dry and wet weather conditions to identify RDII sources within the sub-basins. However, because of the cost disparity between installing flow meters and water-level sensors, many municipalities opt for the latter, which is more economical but limits the accuracy of flow measurement.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ology to estimate flow rates based on measured water-level data, which were validated using adjacent flow measurement data. This water level-to-flow conversion method is expected to be utilized through the installation of water-level sensors owing to their ease of deployment, in addition to budgetary constraints that limit the use of flow meters. This approach enables the application of water-level data for flow estimation.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및 분석조건
3. 적용 및 결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4권 6호 목차
- 국가별 건물 내 민방위 대피시설의 비교분석
- 국내 배연창 기준 개선을 위한 한·일 기준 비교 연구
- 사고유형별 빈도 및 작업자 인식 기반 3D Matrix 분석을 통한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기술 도입 우선순위 선정 연구
- 고속철도망 확장을 위한 연결궤도 생애주기비용(LCC) 분석
- 저류형 투수성 블록의 저류공간 부피에 따른 침투유출 분석
- 엘니뇨-남방진동, 인도양 쌍극자 모드 지수와 한반도 가뭄지수의 상관성 분석
- 중미기후 규모 CFD 시뮬레이션을 통한 열환경 취약성 예측: 경기도 평택시를 대상으로
- LID시설내 식생의 성장점검을 위한 비파괴 접촉식 식물생장 모니터링 센서 개발
- 강우발생에 따른 RDII 분석시 수위-유량 환산에 관한 연구
- 격자별 침수심 분포 분석을 통한 우수저류조 설치 유무에 따른 침수피해 저감효과 분석
-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Deep-Tunnel Systems and Evaluation of Stormwater Pollutant Removal for Urban Runoff Management
- 노모그래프 기반 지하굴착공사현장의 실시간 침수 예·경보시스템 개발
- 분류식 하수도 시스템 RDII 관리를 위한 블록 단위 수위 모니터링 체계 구축
- 토픽 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복합재난 유형별 특성 분석
- 미세먼지로 인한 위험성과 취약성 간의 공간관계 분석
- 제주도 산간지역의 강우가 하천 홍수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IoT 무선 기술을 이용한 고압 케이블 접속부 화재 예방에 관한 연구
- 재난대응상황에서 소방공무원의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주관성 연구: A 소방재난본부 119안전체험관을 중심으로
- UAV 사진측량과 고해상도 지형 데이터를 활용한 토석류 유출량 추정: 곡성 사례 연구
- 내화보드가 부착된 Glulam 기둥의 내화성능
- 대규모 복도 공간의 천장 제트 온도 특성 분석
- 반자 내 단열재가 CPVC 배관에 미치는 화재 영향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상향식 스프링클러헤드의 살수특성 비교 연구
- 석유화학 플랜트 방호벽의 내화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위험물 안전관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프리캐스트 바닥판-거더 연속 접합부를 갖는 조립식 합성거더의 제작 및 구조성능에 대한 실험 연구
- LightGBM 기반 교량 상부구조 부재 성능 예측 모델
- Merged CNN 기반 유한요소모델 업데이트 방법론
- 국내 대피소 기준과 FEMA453의 비교 연구
- 균열폭 및 균열깊이가 전력구 콘크리트 탄산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물시스템 공급성능을 고려한 도시지역 통합지진위험도평가 및 적용연구
- 다양한 섬유 종류가 적용된 뿜칠용 보강재료와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 보의 휨 보강 성능 평가
- 이산화탄소 환경에 노출된 전력구 콘크리트의 탄산화 및 압축강도 특성
- 표면처리된 강섬유를 활용한 초고성능 알칼리활성 콘크리트의 인장 성능 향상
- 현장조사를 통한 전력구 콘크리트의 내구성 영향요인 분석
- 머신러닝을 활용한 지반함몰 위험도 예측 회귀모델
- 격자기반 도시배수시스템 해석 모형의 연구
- 실제 옹벽 변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자연 특징 탐지 및 매칭 기법 개발
- 대설 취약성 분석과 강설 횟수 분석을 통한 시·군·구별 제설 장비 투입 우선순위 제안
- 로지스틱 성장함수 기반 홍수 피해함수를 이용한 기초지자체 단위 홍수 취약성 평가
- 사분면 다중 힌지 전단 시험 장치에 의한 RC 패널의 전단 변형률 측정 방법
- 용수별 가뭄피해이력의 군집특성을 고려한 지자체 별 가뭄 복원력 평가
- 우수저류지-빗물펌프장을 연계한 홍수조절시설 계획 방법
- 토지 소재 변화에 따른 양재천 상류 유역의 지하수 함양량 변화 분석
- 수치모의를 활용한 수문곡선 양상에 따른 제방 붕괴 특성 분석
- 다목적댐 용수공급능력 평가에 대한 연구
- 폭풍해일 해안침수예상도 DB를 활용한 침수발생확률 평가
- 지역회복력지수 기반 환경보건 취약지역 선정을 위한 누적영향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Innovative Design of Excess Electricity Usage from an Islanding Micro-Hydroturbin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Dump Load. A Case Study of Hhaynu River - Mbulu, Tanzania
- 저에너지 최적가용기법을 적용한 미세기포의 부상효율 최적화
- 조류 독소 제거를 위한 최적가용기법(BAT)으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한 MC-LR 저감 성능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