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이용수 2
- 영문명
- Analysis of K-food trends using social media big data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고진현(Jin-Hyun Koh)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19권 6호, 65~8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 포털 사이트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K푸드 관련 단어를 추출하였으며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메뉴의 연관성과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K푸드 관련 언급량은 매년 증가했으며, 특히 2023년에는 2019년보다 60% 이상 증가하였다. 분석된 주요 연관 단어로는 '한국', '식품', '세계', '수출' 등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통해 K푸드는 세계에 한국을 대표하는 수출 식품으로 정의할 수 있었다. 대표 메뉴로는 김치, 비타민, 떡볶이, 라면이 선정되었고, 김치는 전통 한식과 현대 K푸드를 잇는 상징적 음식으로 나타났다. 떡볶이와 라면은 간편식으로서 K푸드의 글로벌 확장에 기여하였다. 또한, K푸드는 매운맛을 강조하는 음식으로 인식되었으며, 간편한 조리법과 현지화 전략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UCINET 프로그램의 NetDraw를 사용하여 시각화를 실시하였으며 연결중심성 분석을 통하여 네트워크 내에서 특정 K푸드가 얼마나 중심적 위치에 있는지를 분석하였고 연도에 따른 변화양상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K푸드의 현황 분석과 함께 향후 연구에서의 보완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tracted K-food-related keywords from big data collected from Korean portal sites between 2019 and 2023 and analyzed the associations and trends of various food items using network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mentions of K-food significantly increased each year, with a rise of over 60% in 2023 compared to 2019. Key associated terms included “Korea,” “food,” “global,” and “export,” positioning K-Food as an export product representing Korea worldwide. The main representative items were Kimchi, vitamins, Tteokbokki, and Ramen. Kimchi emerged as a symbolic food connecting traditional Korean cuisine with modern K-food, while Tteokbokki and Ramen contributed to the global expansion of K-food by offering convenient meal options. Additionally, K-food was also recognized for its emphasis on spicy flavors and achieved success in the global market through easy preparation methods and localization strategies. Visualiz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NetDraw program from UCINET, and centrality analysis was applied to examine the prominence and changes of specific K-food items within the network over time. This study provides an analysis of K-food's current status using big data and suggests areas for improvement in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연잎 분말을 첨가한 열무 물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항산화 특성 변화
- 디저트 선물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오프라인 디저트 선물 중심으로
- 여성 리더의 공감리더십이 호텔종사원의 LMX, 조직애착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