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歌)·요(謠)·곡(曲)의 해부학 5 : 새벽의 ‘노래운동’과 투쟁가, 서정곡, 서사요 1977-1993
이용수 6
- 영문명
- An Anatomy of Song(歌), Ballad(謠) and Tune(曲) 5 : The Dawn and Dusk of the Song Movement against ka·yo·kok regime in South Korea 1977-1993
-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 저자명
- 신현준(Hyunjoon Shin)
- 간행물 정보
- 『대중음악』통권 34호, 9~54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가(歌), 요(謠), 곡(曲)은 ‘노래’를 지칭하는 세 한자 단어는 어원상 상이한 의미를 내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 대중음악에서 이 세 단어들은 유연하게 뒤섞여 사용되고 있는데, 민중가요라고 통칭되는 장르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이 글은 ‘노래운동’이라는 특정한 이름 아래 수행된 주체들이 생산한 문헌들에서 당시의 노래들을 분류할 때 가, 요, 곡이라는 단어를 어떻게 활용하는가를 해부한다. 그 노래들은 노래운동가들이 비판하고 극복하고자 했던 기성의 노래들과 그 운동을 통해 추구하고자 했던 새로운 노래들 양자를 망라한다. 전자의 경우 ‘가·요·곡 체제(regime)’라고 개념화를 시도해 보고, 노래운동이 이 ‘가·요·곡 체제’를 비판하고 새로운 노래문화를 건설하는 기획을 어떻게 기획, 구상, 실천했는지를 조사한다. 그 중심적 사례로는 1984년부터 1993년까지 활동했던 전업적인 비합법 노래운동 단체인 새벽에 초점을 맞추고, 이와 연관된 대학교 노래동아리인 메아리, 합법 노래운동 단체인 노래를 찾는 사람들도 다룬다. 마지막으로 1989년부터 1993년 사이에 발생한 민중가요 ‘진영’의 분열과 노래운동의 위기에 대해 해석한다.
영문 초록
The Sino-Korean characters 歌 (ka/ga), 謠 (yo), and 曲 (kok/gok) literally translate to song, ballad, and tune, respectively, each carrying distinct etymological connotations. However, all are broadly understood as ‘norae,’ which is commonly equated with ‘song.’ In modern and contemporary popular music, these three terms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and with considerable flexibility. This practice is also evident in the context of Korean protest music from the 1980s, retrospectively referred to as Minjunggay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the ‘song movement’ (norae undong) within this specific context and examines how song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iterature produced by the movement’s activists and artists. The analysis includes both the established popular songs, which were perceived as “realistic but vulgar” and thus subject to critique, and the newly composed or collected songs advocated by the movement. While the former were commonly labeled as ‘popular songs’ at the time, this study proposes reconceptualizing them under the term ‘ka·yo·kok regime,’ derived from prevalent terminologies such as ‘yuhaengga,’ ‘in’gigayo,’ and ‘hit’ŭgok.’
The primary focus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the song movement developed, articulated, and implemented strategies to critique the ‘ka·yo·kok regime’ and to construct an alternative cultural paradigm amid the highly oppressive political climate of the 1980s and beyond The central case study is Saebyeok (Dawn), a prominent ‘illegal’ song movement group active from 1984 to 1993. The study also examines the university song club Meari (Echo) and the legal song movement group Nochasa (People Looking for Songs), both of which were associated with this movement. Finally, the paper provides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divisions and crises within the song movement that emerged between 1989 and 1993.
목차
1. 들어가며: 투쟁가, 운동권가요, 행진곡
2. 문제설정: 노래운동, 민중가요, 민족음악
3. ‘그’ 노래운동의 고고학: 새벽에서 황혼까지
4. 대중문화 대 민중문화: ‘가·요·곡 체제’ 對 ‘노래운동’
5. ‘새로운 노래문화’와 ‘러시아풍 서정곡’: 민중문화운동의 광휘(光輝)
6. ‘독일식 노동가요’와 ‘정치 발라드’: 노동자문예의 연소(燃燒)
7. 나오며: 김창남, 진중권, 황요명에 관한 명상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설계 원리 및 내용 분석을 통한 미래 지향적 음악교육의 함의 도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초⋅중 통합운영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 전라남도 장흥군을 중심으로 -
- 국내 AI 음악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18년~2024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 존 듀이 예술철학 관점에서의 음악의 형식과 본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