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계룡산국립공원 내 석조미술의 특징과 미술사적 의의

이용수 11

영문명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Stone Art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발행기관
국립공원연구원
저자명
엄기표(Gi Pyo Eom)
간행물 정보
『국립공원연구지』제15권 제2호, 19~3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계룡산은 통일신라시대 오악 중에 하나로 선정되어 오래전부터 한반도의 중요한 산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래서 1968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오늘에 이루고 있다. 이러한 계룡산국립공원 내에는 사찰이나 무덤 관련 석조미술이 상당량 전하고 있는데, 대부분 불교 신앙과 관련한 불교적인 석조미술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계룡산국립공원 내의 갑사, 동학사, 신원사 등에 전하고 있는 당간지주, 석탑, 부도 등이 대표적인 석조미술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것으로 보아 계룡산국립공원 내의 석조미술사는 불교적인 석조미술이 중심을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계룡산국립공원 내의 불교적인 석조미술은 통시대적인 관점에서 우리나라 석조미술사의 흐름과 상통하는 전개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각각의 석조미술은 그것이 제작된 시기의 시대사조나 문화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런데 계룡산이 오래전부터 중요한 산으로 인식되었는데, 다른 지역이나 권역별처럼 삼국이나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이 확실한 석조미술품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앞으로 이와 관련된 석조미술품이 출토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Gyeryongsan Mountain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mountain on the Korean Peninsula, as it was chosen as one of the five mountains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Therefore, it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park in 1968 . Gyeryongsan National Park has a considerable amount of stone art associated with temples and tombs, with the ones related to Buddhist beliefs predominating. The Dangganjiju, Stone Pagoda, and Budo, which were handed down to Gap-sa Temple, Donghak-sa Temple, and Shinwon-sa Temple in the national park, are representative of such stone art. From this viewpoint, it can be said that Buddhist stone art forms the center of the stone art history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From a timeline perspective, the Buddhist stone art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shows a development process that is in line with the flow of stone art history in Korea. Each piece of stone artwork is believed to reflect the trend or culture of the time in which it was produced. However, although Gyeryongsan Mountain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mountain, stone artworks that are certain to have been created during the Three Kingdoms or Unified Silla Period have not been identified, as in other regions or cultural zones. It is expected that stone art related to this period will be excavated in the future.

목차

서론
계룡산국립공원 내 석조미술의 현황과 특징
계룡산국립공원 내 석조미술의 미술사적 의의
결론 및 고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기표(Gi Pyo Eom). (2024).계룡산국립공원 내 석조미술의 특징과 미술사적 의의. 국립공원연구지, 15 (2), 19-36

MLA

엄기표(Gi Pyo Eom). "계룡산국립공원 내 석조미술의 특징과 미술사적 의의." 국립공원연구지, 15.2(2024): 19-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