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간 빈곤이 여성의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시기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2

영문명
The Impact of Time Poverty on Women’s Fertility Intention : A Comparison Between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COVID-19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이찬웅(Chan Ung Lee) 문상호(Sang Ho Moon)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122호, 67~9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시기의 자유시간, 무급노동시간, 유급노동시간 빈곤이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질문은 “코로나19 이전 시기과 이후 시기에 따라 시간 빈곤이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를 나타내는가?” 로 설정하였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과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을 연구의 시간적 범위로 설정하여, 출산 의향에 미치는 시간 빈곤의 영향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유시간 빈곤은 코로나19 이전 시기에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코로나19 시기에는 출산 의향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무급노동시간 빈곤 또한 코로나19 이전에 유의미하지 않았던 시간 빈곤의 영향이 코로나19 시기에는 부(-)의 방향으로 유의하였다. 한편, 유급노동시간 빈곤은 코로나19 이전 시기와 이후 시기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코로나19 시기 여성의 시간 빈곤의 취약성과 일·가정 양립의 불균형을 예방하기 위해 돌봄 정책과 남성 배우자의 육아휴직 제도 활성화, 전통적인 성 역할 가치관의 해소 등 여성의 가사노동 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act of time poverty in terms of free time, unpaid work time, and paid labor time on fertility intention in the pre- and post-COVID-19 periods. The research question is “Does the impact of time poverty on fertility intention differ between the pre-COVID-19 and post-COVID-19 periods?” To analyze this, the temporal scope of the study was set to year 2018 before COVID-19 and year 2020 during COVID-19, and the impact of time poverty on fertility intention was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veals that poverty in free time was not significant in the pre-COVID-19 period bu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ertility intention during the COVID-19 period. Similarly, poverty in unpaid work time, which was not significant before COVID-19, had a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during the pandemic. Poverty in paid labor hours is not significant in either the pre-COVID-19 or post-COVID-19 period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eed for policy alternatives the burden of women's domestic work, such as promoting care policies and parental leave systems for male spouses, and addressing traditional gender role values, in order to mitigate the vulnerability of women to time poverty and the im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during the COVID-19 perio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찬웅(Chan Ung Lee),문상호(Sang Ho Moon). (2024).시간 빈곤이 여성의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시기 비교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 67-97

MLA

이찬웅(Chan Ung Lee),문상호(Sang Ho Moon). "시간 빈곤이 여성의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시기 비교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2024): 67-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