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vid 19 긴급재난지원금과 정치성향이 납세자의 교환공평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9
- 영문명
- A Study of the Impact of Covid 19 Emergency Relief Funds and Political Ideology on Taxpayers’ Perceptions of Exchange Equity
- 발행기관
- 한국세무학회
- 저자명
- 이영한(Younghan Lee) 신정희(Junghee Shin) 이혜영(Hye-yeong Lee)
- 간행물 정보
- 『세무학연구』제41권 제3호, 135~15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재정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지급된 Covid 19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받은 납세자들의 교환공평성 인식의 변화가 있었는지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Covid 19 긴급재난지원금의 수령으로 인해 납세자들의 교환공평성 인식 변화가 납세자들의 정치성향(보수, 진보, 중도)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개인의 교환공평성 인식은 Covid 19 긴급재난지원금을 수령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수적 정치성향 변수와 Covid 19 긴급재난지원금 수령 변수의 상호작용 변수가 개인의 교환공평성 인식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적인 음의 값을 보였고, 단일 변량 분석에서도 보수적 정치성향 집단의 경우는 Covid 19 긴급재난지원금 수령이 교환공평성 인식을 유의하게 변동시키지 못하였다. 즉, Covid 19 긴급재난지원금 수령으로 인한 교환공평성 개선효과는 수령자의 정치적 이념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며, 특히 보수적인 정치성향을 가진 개인의 경우 Covid 19 긴급재난지원금의 수령이 정부와의 교환계약에서의 교환공평성 인식이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낮아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Covid 19 긴급재난지원금과 같은 중대 재난상황에서의 정부의 보조금 지원이 납세자의 교환공평성 인식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과 이러한 효과는 납세자의 정치성향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서 정치적 신념이 납세자의 공평성 인식에 중요한 영향변수라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leverages panel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s (NaSTaB)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axpayers’ perceptions of Exchange equity and receipt of Covid-19 Emergency Relief Funds (ERFs) distributed from 2020 to 2022. We further explore whether the influence of ERFs on Exchange equity perceptions varies across taxpayer political ideology (conservative, liberal, or moderate).
Our empirical findings reveal that individuals who received ERFs exhibi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perceptions of Exchange equity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Additionally,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conservative political ideology and ERF receipt show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xchange equity perceptions. Interestingly, the univariate analysis indicates that receiving ERFs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Exchange equity perceptions for the conservative group.
In essence, the effect of ERFs on Exchange equity is contingent upon the recipient’s political ideology. Our results suggest that conservative taxpayers who did not receive ERFs experienced an improvement in their perception of Exchange equity in government contract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가설 설정
Ⅳ. 연구모형과 표본
Ⅴ. 실증분석결과
Ⅵ. 결론과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회계학분야 NEW
- 원격 판매업자에 대한 미국 판매세 규정과 국내 전자상거래 수출기업의 세무위험
- 공익법인 지정추천제도가 공시수준에 미치는 영향
- 행동회계연구의 이론적인 틀과 미래연구방향: 세무회계분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