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기반시설의 문화서비스품질과 브랜드 자산, 방문객 만족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공공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ultural Service Quality, Brand Equity, and Visitor Satisfaction in Cultural Infrastructure: Focused on Public Libraries, Museums, Art Galleries, and Cultural Centers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정지은(Ji-Eun Jung)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42권 제4호, 73~80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화기반시설의 ‘문화서비스품질’, ‘브랜드 자산’, ‘방문객 만족’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의 공공도서관, 국공립박물관, 국공립미술관, 문예회관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201부의 유효표본을 본 연구에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기반시설 문화서비스품질의 상호작용품질, 환경품질은 브랜드 자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기반시설 문화서비스품질(핵심품질, 상호작용품질, 환경품질)과 브랜드 자산 모두 방문객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문화기반시설의 이용제약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 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화기반시설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와 부정적 이미지 집단 간에도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문화기반시설에서 제공하는 문화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문화서비스품질과 관련된 ‘브랜드 자산’, ‘방문객 만족’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기에 의미가 있다. 향후 문화기반시설을 이용하는 다양한 집단의 특성을 유형화하고, 이들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기반시설이 양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문화서비스품질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을 살펴보았기에, 다양한 문화예술 현장에서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학술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ultural service quality,' 'brand equity,' and 'visitor satisfaction' within the context of cultural infrastructure.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visitors of regional public libraries, national and public museums, national and public art galleries, and cultural centers, yielding a total of 201 valid responses for analysi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dimensions of cultural service quality in cultural infrastructure, interaction quality and environmental qual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rand equity. Secondly, both the dimensions of cultural service quality (including core quality, interaction quality, and environmental quality) and brand equity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visitor satisfaction. Thirdly,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groups with low and high levels of usage constraints within cultural infrastructure. Additionally, a moderating effect was observed between groups with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cultural infrastructure.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cultural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quity’ and ‘visitor satisfaction’ in the context of cultural service quality, particularly during a period when the importance of cultural services is being emphasized, with a focus on cultural infrastructure. Future research should aim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e groups utilizing cultural infrastructu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them. In a phase where the number of cultural infrastructure is increasing quantitatively, this study seeks to examine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cultural service quality, with the expectation that it will serve as academic resource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in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contexts.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분석 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지은(Ji-Eun Jung). (2024).문화기반시설의 문화서비스품질과 브랜드 자산, 방문객 만족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공공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42 (4), 73-80

MLA

정지은(Ji-Eun Jung). "문화기반시설의 문화서비스품질과 브랜드 자산, 방문객 만족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공공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42.4(2024): 73-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