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기불전의 보살 개념을 통해 살펴본 대승불교의 기원 - 인도 고대 보살상과의 관련성에 대한 시론
이용수 16
- 영문명
- The Origin of Mahāyāna Buddhism Examined from the Concept of Bodhisattva: In Relation to the Bodhisattva Image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저자명
- 한성자(Sungja Han)
- 간행물 정보
- 『보조사상』第69輯, 121~161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승불교의 기원에 대해 그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지금도 계속 연구되고 있으나 가장 기본적인 문제, 즉 왜 대승이 출현하게 되었는가에 대해서 아직 납득할 만한 답은 제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연구 대상과 분석 방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근래 다수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합의점이 도출되었다. 즉 대승불교는 특정할 수 있는 어떤 하나의 집단에 의해서 특정한 지역에서 일어난 것이 아니라 여러 지역에서 산재해서 일어나던 다수의 움직임에 어떤 유사성이 나타나면서 이를 토대로 점차 집단적인 세력을 형성하여 여기에 대승이라는 이름이 붙여지게 됐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승 기원의 문제와 관련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대승불교라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 전후 맥락을 최대한 합리적으로 설명해 내는 것이라고 하겠다. 그런 관점에서 이 논문에서는 대승이 처음 등장할 무렵 또는 그 직전의 한 특이한 현상, 즉 광의의 간다라 지역에서 보살상(菩薩像)이 출현했다는 점에 주목하여 대승불교의 보살 개념이 보살상의 출현으로부터 촉발됐을 가능성을 가늠해 보았다. 즉 보살상으로부터 영감받은 소수의 기존 부파승단의 출가자들에 의해서 명상과 유행의 정체성을 지닌 보살 개념이 도출되어 대승불교 성립의 초석이 마련되었다는 가설을 세워보았다.
영문 초록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origin of Mahāyāna Buddhism, and it continues to be an ongoing area of research. However, a satisfactory answer to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y Mahāyāna Buddhism emerged has not yet been provided. Nevertheless, recent studies have reached a consensus that goes beyond differences in research subjects and analytical approaches. Specifically, it is suggested that Mahāyāna Buddhism did not originate as a result of a specific identifiable group or region but rather emerged sporadically and later acquired the label “Mahāyāna” as the phenomenon gradually became clearer. Therefore, in relation to the issue of the origin of East Asian Mahāyāna Buddhism, our task is to rationally explain the context before and after the emergence of the phenomenon as much as possible.
From that perspective, this paper focuses on a peculiar phenomenon just before the emergence of Mahāyāna Buddhism, specifically the appearance of Bodhisattva statues in the Greater Gandhāra region. It draws attention to the fact that a concept of Bodhisattva, embodying meditation and wandering in the forest inspired by these Bodhisattva statues, was developed by a small number of ordained monks of the existing sectarian Buddhist monasteries. Subsequently, the hypothesis suggests that the foundation of Mahāyāna Buddhism was laid through the practice of meditation derived from existing scriptures, followed by modifications and innovations.
목차
Ⅰ. 서론
Ⅱ. 대승 기원 연구의 흐름과 쟁점
Ⅲ. 불탑 신앙과 보살상
Ⅳ. 보살 개념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불교학연구 제80호 목차
- ‘연화장세계’에 대한 화엄교학의 해석 - 법장(法藏)과 이통현(李通玄)의 주석을 중심으로
- 『법화현의』권1 「회이(會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유마경현소』 권1 「대사실단(對四悉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