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企劃論文] 근대 초기 딱지본 표지화에서 보이는 중국 도상 연구
이용수 31
- 영문명
- Chinese Representation Shown on the Book Covers of “Ttakji-bon” in the Early Modern Korea: Focusing on 『Gwak Bunyang Silgi』
- 발행기관
- 근대서지학회
- 저자명
- 조민주(Min Ju Cho)
- 간행물 정보
- 『근대서지』제29호, 601~6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문헌정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세기 초 중국 고소설의 딱지본 유통에 앞장선 출판사들은 독자들의 취향을 반영하기 위해 표지화에 중국의 이미지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했고, 조선시대 유행하지 않거나 터부시되던 도상들도 적극적으로 선보였다. 『곽분양실긔』의 딱지본 표지화에는 조선시대 유가(儒家) 사회에서는 보이지 않던 부부가 나란히 앉아 연회를 즐기는 중국식 부부병좌도상이 1913년 초판부터 1950년대까지 이용되었다. 부부병좌의 도상은 근대초기 동아시아 질서 속에서 새롭게 전개되는 가족내 부부모습에 대한 대중의 취향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곽분양실긔』 표지화는 청대 왕실과 민간의 연화(年畵)와 판화에서 유행하던 도상의 근대 조선에서의 수용과 유통현황을 보여주고 있어 미술사적으로도 매우 중요다. 본 논문에서는 딱지본 『곽분양실긔』의 표지화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유행했던 곽분양 고사화가 20세기 초 출판문화에서 시각적으로 재생산되고 유통되는 방식을 고찰한다.
영문 초록
In the early 20th century, Kroean publishing houses that pioneered the distribution of newly edited Chinese classical novels actively utilized Chinese images to reflect readers’ tastes, even showcasing images that were neither popular nor taboo in the Joseon Dynasty. On the covers of Ttakji-bon novel, such as “Gwkbunyang Silqi(The Story of Gwakbunyang),” a Chinese novel, the Chinese-style iconography of a husband and wife sitting together enjoying a banquet was consistently featured from the first edition in 1913 until the 1950s. This imagery, which was not seen in the Confucian society of the Joseon Dynasty, highlights the public’s interest and changes regarding the new status of men and women within the East Asian family structure during the transition to a modern society. Moreover, the book-cover of “Gwakbunyang Silgi” illustrates the distribution of the Chinese iconography of the husband and wife sitting together, which was very popular in Qing Dynasty as a form of New Year’s Poster(Nianhua). This paper examines the visual represent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classical story of Gwabunyang in the publishing culture of the early 20th century, focusing on the cover images of the Ttakji-bon, Gwakbunyang Silgi.
목차
1. 머리말
2. 딱지본 『곽분양실긔』 의 부부 병좌 도상 분석
3. 『곽분양실긔』를 통해 본 근대기 가족관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간사] 다양한 지역에서 생성된 희귀한 자료들과의 만남
- [시] 황새 외 1편
- [시] 눈
- [화보] 『보중친목회보』 外
- [시] 혹을 지고 걷는 펜
- [出版ㆍ印刷 書誌] 1930년대 이병현과 김정환의 출판미술
- [出版ㆍ印刷 書誌] 장정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장정사-①잡지
- [出版ㆍ印刷 書誌] 강원도인의 심장으로 들려주는 차상찬의 강원도와 봄내골(춘천) 이야기
- [出版ㆍ印刷 書誌]] 1950년대 의학 분야 잡지(1)
- [文學 書誌] 천도교 동화집 『새선물』과 황승봉
- [文學 書誌] 카프 비평가 출신 월북 작가의 해방과 전쟁 형상
- [文學 書誌] 김상덕[金海相德]의 사화집(史話集) 『그림이야기 외쪽눈 영웅(繪物語 片目の英雄)』(1945) 연구
- [文學 書誌] 1913년 신해음사(辛亥唫社)에서 발행된 『북원수회첩(北園壽會帖)』
- [기생특집] 기획된 ‘국제도시’의 기록, 『大哈爾濱案內(指南)』(1933)
- [기생특집] 『조선보감(朝鮮寶鑑)』 서지 연구
- [기생특집] 19세기 기생 관련 자료 몇 가지
- [기생특집] 『명소구적안내(名所舊蹟案內)』 서지와 기생학교의 관광상품화
- [藝術 書誌] ‘야구에 한평생을 바친’ 이원용(李源容)의 재발견
- [企劃論文] 일본 번안 소설의 출현과 이도영의 소설 표지화의 혁신
- [出版ㆍ印刷 書誌] 문학서적을 중심으로 살펴본 근대서지의 가치-①시집
- [文學 書誌] 김기림(金起林) 도호쿠대학 학적원부의 소개에 부쳐
- [文學 書誌] 『목포문학』 창간호의 의미
- [기생특집] 『대일본제국조선사진첩(大日本帝国朝鮮写真帖)』 (1910) 일고찰
- [藝術 書誌] 『어린이』와 부록 『어린이세상』을 통해 보는 국내 아동만화 초기 변천과정 연구
- [卷末資料ㆍ影印] 해방기 잡지 목차 정리 ⑦-지읒편
- [企劃論文] 근대 초기 딱지본 표지화에서 보이는 중국 도상 연구
- [一般論文] 가정잡지 『신계』(1921)와 강경 지역의 여성 담론
- [一般論文] 〈사단법인 대한상이군인회〉 동래군분회 회칙 문건의 발굴 및 해제
- [一般論文] 한성도서주식회사의 출판활동과 식민지 책시장의 역학
- [出版ㆍ印刷 書誌] 근대 장정가로서 정현웅의 시각 디자인
- [기생특집] 『경성대학예과신문(京城大學豫科新聞)』 소개
- [기생특집] 『선만지소견(鮮滿支素見)』(1927년) 서지에서 나타난 평양 관기학교 방문기
- [藝術 書誌] 친일ㆍ군국주의 선동 국민개창운동의 일환으로 발간한 『我等の歌-愛國歌曲集』
- [藝術 書誌] 옛날 노래책에 빠지다
- [藝術 書誌] 새 자료 『반만년역사가(半萬年歷史歌)』 소개
- [藝術 書誌] 김용환 혹은 기타 코지의 『최신펜화연습첩(最新ペン畵練習帖)』
- [藝術 書誌] 잡지 『취미(趣味)의 영화(映畫)』 창간호 해제
- [藝術 書誌] 『영화예술』 1959년 12월 창간호 해제
- [一般論文] 그로테스크 캐리커처
- [卷末資料ㆍ影印] 영인 『우리들노래』ㆍ『특선가곡집』ㆍ『반만년역사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문헌정보학분야 BEST
- [一般論文] 해방기 잡지 『부인(婦人)』에 나타난 여성 계몽의식
- [卷末資料ㆍ影印] 영인 『申不出 넌센스 대머리 百萬風』(화봉문고 제공)
- [一般論文] 『어린이』에 수록된 유희동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