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동용 영상촬영기기 바디캠을 활용한 팀단위 심폐소생술의 교육피드백 효과
이용수 76
- 영문명
- Training Feedback effect of team-based CPR using a mobile video recording device body camera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임성빈(Seong bin Im)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Vol13, No.5, 62~71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구급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바디캠을 활용하여 교육피드백 효과를 파악하고자 응급구조학과 4학년 32명을 대상으로 팀단위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바디캠 피드백 전후에 대한 인식도, 교육피드백 효과, 만족도, 바디캠 기기활용 선호도 및 애로사항을 파악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paried t-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바디캠 사용에 대한 인식은 3.73±0.62점에서 4.45±0.54점으로 긍정적인 인식변화를 보였으며, 3.98±0.51의 긍정적인 만족도는 나타냈다(p<.001). 또한 바디캠 피드백 후 자가점검 정확도와 수행능력점수에서 유의한 상승효과를 나타냈다(p<.001). 따라서 팀단위 시뮬레이션 소생술 훈련 시 강사의 직접적인 피드백 없이도 바디캠 영상시청을 통한자가피드백을 수행하여 자가점검능력 향상 및 수행능력향상의 긍정적인 교육피드백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team-based CPR simulation with 32 fourth-year emergency rescue student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feedback using body cameras used at emergency rescue sites, and measured awareness, training feedback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body camera feedback. , preferences and difficulties in using body camera devices were identifi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7.0 program,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paried t-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body camera use showed a positive change from 3.73±0.62 points to 4.45±0.54 points, and a positive satisfaction level of 3.98±0.51 was shown (p<.001).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check accuracy and performance score after body camera feedback (p<.001). Therefore, during team-based simulation resuscitation training, positive feedback effects in improving self-inspection ability and performance can be achieved by watching body camera videos and using self-checklists without direct feedback from the instructor.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 광역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이 관광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bOTP: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최신 블록 해시를 활용한 이중-요소 기반의 예측 불가능한 OTP
- AES 암호화를 이용한 파일 보호 기법
- 실무 기반 3D 치아 스캔 데이터 세분화를 위한 딥러닝 모델 성능 평가: MeshSegNet과 DilatedToothSegNet 모델 활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