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녀 청소년의 부모관여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간의 관계: 자기통제와 또래동조의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55

영문명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Monitoring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among Male and Female Adolescents: Dual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Peer Conformity of Anti-social Behaviors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임정하(JungHa Lim) 허자연(Zayoun Huh)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第91輯, 139~16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사용에 대한 남녀 청소년의 부모의 관여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자기통제와 반사회적 또래동조의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서울에 위치한 8개 중학교에서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연구대상은 남녀 중학생 총 304명이었다. 부모관여,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자기통제 및 반사회적 또래동조에 대한 자기보고식 질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시 독립표본 t 검증, 상관분석, PROCESS macro를 활용한 매개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인터넷 사용에 대한 부모관여와 자기통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더 높게 지각했고, 반사회적 또래동조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은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더 높게 보고했다. 둘째, 인터넷 사용에 대한 부모관여는 자기통제와 또래동조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남녀 표본을 구분해 분석한 결과, 부모관여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간의 관계에서 남학생들의 경우, 자기통제와 반사회적 또래동조 각각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여학생들의 경우, 자기통제나 반사회적 또래동조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청소년의 성별을 고려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과 관련된 경로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dual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peer conformity of anti-social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monitoring of internet use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8 middle schools in Seoul. A sample of 304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ed perceived parental monitoring of internet use, cyberbullying perpetration, self-control, and peer conformity of anti-social behaviors.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s, Pearson's correlation, and Model 6 in SPSS PROCESS Macro. Results indicated that fe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parental monitoring of internet use and self-control compared to male students, while 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peer conformity of anti-social behaviors and engagement in cyberbullying perpetration compared to female students. Testing of the sequential mediating model in the overall sample showed parental monitoring of adolescent children influenced cyberbullying perpetration serially via self-control of adolescents and peer conformity of anti-social behaviors. However, in the male students' sample, parental monitoring was associated with cyberbullying perpetration via self-control and peer conformity of anti-social behaviors, respectively, while in the female students' sample, parental monitoring was associated with cyberbullying perpetration only via self-control. Gender-specific pathways from parental monitoring to cyberbullying perpetra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정하(JungHa Lim),허자연(Zayoun Huh). (2024).남녀 청소년의 부모관여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간의 관계: 자기통제와 또래동조의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 139-165

MLA

임정하(JungHa Lim),허자연(Zayoun Huh). "남녀 청소년의 부모관여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간의 관계: 자기통제와 또래동조의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2024): 139-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