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소기업 인공지능(AI) 도입에 따른 종사자 인식의 탐색적 연구

이용수 12

영문명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orker perception on the effect of SMEs' introduction of manufacturing AI on support for the introduction of manufacturing AI. To this end, three hypo
발행기관
한국지역경제학회
저자명
길수민(Su-Min Gil) 류효종(Hyo-Jong Yoo) 표희영(Hee-Young Pyo)
간행물 정보
『한국지역경제연구』제22권 제1호, 83~10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제조 AI 도입에 따른 종사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개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2021년 8월 5일부터 8월 11일까지 창원시 제조 AI 프로그램 참가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절차는 창원시 제조 AI 프로그램 참가기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받아 SPSS로 통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종사자의 특성별로 제조 AI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30대 이하보다 40대 이상이, 기술직보다 행정직이, 일반직보다 관리직인 경우 제조 AI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제조 AI 도입을 인지하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제조 AI 도입에 따른 기대 효과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제조 AI 도입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성 향상, 마케팅 도움, 연구개발비 감소, 제조원가 감소, 매출향상, 영업이익 증가, 회사의 자랑스러움, 미래 비전, 장기근속 의지 등 기대 효과에 대한 인지가 제조 AI 도입 지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orker perception on the effect of SMEs' introduction of manufacturing AI on support for the introduction of manufacturing AI. To this end, thre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existing research,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workers of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manufacturing AI program in Changwon City over a week from August 5 to August 11, 2021. The research procedure was statistically analyzed in SPSS by receiving a questionnaire from practitioners of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manufacturing AI program in Changwon C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 expected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manufacturing AI by the characteristics of workers. Overall, those in their 40s or older than those in their 30s, administrative jobs were more positive than technical jobs, and management jobs were more positively aware of the expected effect of introducing manufacturing AI than general job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ho is aware of the introduction of manufacturing AI perceived the expected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manufacturing AI more positively than the group who did not and supported the introduction of manufacturing AI. Productivity improvement, marketing assistance, R&D cost reduction, manufacturing cost reduction, sales improvement, operating profit increase, company pride, future vision, and perception of the expected effect of long-term working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upporting the introduction of manufacturing AI. The analysis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last chapt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분석
Ⅴ.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길수민(Su-Min Gil),류효종(Hyo-Jong Yoo),표희영(Hee-Young Pyo). (2024).중소기업 인공지능(AI) 도입에 따른 종사자 인식의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경제연구, 22 (1), 83-100

MLA

길수민(Su-Min Gil),류효종(Hyo-Jong Yoo),표희영(Hee-Young Pyo). "중소기업 인공지능(AI) 도입에 따른 종사자 인식의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경제연구, 22.1(2024): 83-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