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학습 지원 모형 개발 연구
이용수 73
- 영문명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n AI-based customized learning support model: Focusing on the university class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철(Euncheol Lee) 이가영(Gayoung Lee)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77집, 225~24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여 학습자들의 특성과 학습 내용, 개인 학습을 고려하고, 수집된 학습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별 학습자에게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연구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문헌을 분석하여 맞춤형 학습지원, 학습 데이터 분석, 학습 활동의 구조를 조사하였고, 조사된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맞춤형 학습 지원 모형의 영역과 세부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문헌 분석을 통해서 모형의 초안을 구성하였고, 모형 초안은 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1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1차 델파이 결과를 반영하여 모형을 수정하였고, 수정된 모형은 2차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서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서 모형을 정교화하였고, 이를 통해서 최종 모형을 구성하였다.
결론 및 제언 : 연구를 통해서 맞춤형 학습지원 영역, 수업 운영 시스템 영역, 학습 분석 데이터 영역을 구성하였고, 각 영역에 세부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의 수업환경을 고려하여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맞춤형 학습 지원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 것이다.
영문 초록
Research Purpos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considers learners' characteristics, learning content, and individual learning, and analyzes the collected learning data to develop a model that supports customized learning for individual learners.
Research content and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literature was analyz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customized learning support, learning data analysis, and learning activities, and based on the investigated data, the area and detailed components of the customized learning support model were derived. did. A draft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the first exper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the draft model with five experts. The model was revised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first Delphi, and the validity of the revised model was verified through the second expert Delphi. The model was elaborated through expert Delphi, and the final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this.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 Through research, customized learning support area, class management system area, and learning analysis data area were formed, and detailed elements were derived for each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constructing a customized learning support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aking into account the university's class environmen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Research Methods
Ⅳ. Results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학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한 신학대학 교육과정 운영 만족도 분석 연구
- 책임을 노래하는 기독교적 종교교육
- 중년여성 평신도 사역자의 코칭을 통한 교회평생교육 참여경험 의미탐색
- 남북한 동류의식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과제
- 디지털 대전화의 시대, 디지털 역기능과 교회교육의 방향
- Horst Klaus Berg의 성서교수학에 나타난 해석 다양성에 관한 연구
- 기독교 영아기 부모 관련 연구 분석
- 기독교대학의 AI활용가이드 구성요소 개발 연구
- 교수유형 진단에 따른 교수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 연구
- 기독교 관점에서 바라본 ESG핵심 가치의 연결성과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기독교 교육의 방향성 탐구
- 자녀의 건강한 기독교 정체성 형성을 위한 신 표상 및 부모 이미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학습 지원 모형 개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