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ose calibrator 측정 깊이와 용량의 변화에 따른 선량 값의 성향에 대한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ndency of Dose value According to Dose calibrator Measurement Depth and Volume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김진구(Jin Gu Kim) 함준철(Jun Cheol Ham) 오신현(Shin Hyun Oh) 강천구(Chun Koo Kang) 김재삼(Jae Sam Kim)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24 No.1, 20~26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It is intended to figure out the errors derived from changes in depth and volume when measuring the Standard source and 99mTc-pertechnetate by using a Dose calibrator. Then recommend appropriate measurement depth and volume.
Materials and Methods As a Dose calibrator, CRC-15βeta and CRC-15R (Capintec, New Jersey, USA) was used, and the measurement sources were 57Co, 133Ba, 137Cs and 99mTc-pertechnetate was also adopted due to its high frequency of use. The Standard source was respectively measured the changes according to its depth without changing the volume, in a range of 0 cm to 15 cm from the bottom of the ion chamber. 99mTc-pertechnetate was measured at each depth by changing the volume with 0.1 mL, 0.3 mL, 0.5 mL, 0.7 mL and 0.9 mL Respectively. And the depth range was from 0 cm to 15 cm at the bottom of the ion chamber.
Results In the case of Standard source 57Co, 133Ba, 137Cs and 99mTc-pertechnet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depth(p<0.05). 99mTc-pertechnetate has a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depth, and the error of the measured value was negligible at a depth from 0 cm to 7 cm at 0.3 mL and 0.5 mL, and the range of error increased as the volume increased.
Conclusion In clinical practice, it is sometimes installed differently than the Standard depth recommended by the equipment company. If it’s measured at the recommended depth and volume, it could be thought that unnecessary exposure of the operator and the patient will be reduced, and more accurate radiation exams will be possible in quantitative analysis.
목차
서 론
실험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결 론
요 약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99mTc-DTPA 신장 동적 검사(Renal Dynamic Scan) 시 동위원소 용량 변화와 Matrix Size 변경에 따른 사구체 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수치 변화 비교
- Dose calibrator 측정 깊이와 용량의 변화에 따른 선량 값의 성향에 대한 고찰
- 방사면역 측정법에 의한 25-OH-VitD와 25-OH-VitD3의 비교 평가
- 생성적 적대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을 이용하여 획득한 18F-FDG Brain PET/CT 인공지능 영상의 비교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55Fe와 59/63Ni의 화학분리 중 목적원소 및 방해원소 거동 특성 연구
- 진단참고 준위를 적용한 선량 변화에 따른 영상 품질의 변화 평가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