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수업 개선 실천

이용수 11

영문명
Practice improve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subject: Focusing on changes the student ag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S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조혜선(Hye-Seon Jo)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제28권 제1호, 87~11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도권 4년제 S대학교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수업 개선 실천 과정에서 드러난 예비유아교사의 학생 행위 주체성 변화를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S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56명과 연구자 자신교수 1명으로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수업 개선을 목적으로 유아교육과정 이론 강의, 현장 연계 탐방 수업, TBL(Team Based Learning)로 유아교육 프로그램 발표 및 토론을 병행 교차 실행하고 수업 반성을 실천하였다. 연구 자료는 유치원 현장 탐방 보고서, 연구 참여자의 유아교육 프로그램 발표 PPT와 핵심요약본, 학습 포트폴리오, 수업 개선 성찰지, 연구자의 연구 노트 등이다.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 분석을 통해 특정 개념 중심으로 범주화하고 연구 문제 중심으로 재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S대학교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육과정’ 수업 개선 실천은 설렘과 낯섦의 조우가 혼재하는 상황이었다고 한다. 설렘은 주로 학생 행위 주체성 실행과 유치원 현장 탐방으로 나타났고, 낯섦은 TBL에 의한 유아교육 프로그램 발표 및 토론 수업과 학습 포트폴리오 경험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과정’ 수업 개선 후 반성과 실천의 교차점에서 학생 행위 주체성을 형성한 학습자 자신을 인식하게 되었다고 한다. TBL을 통한 이론 발표 및 질의 토론 학습법은 나침반과 같은 자율성을 찾게 도왔으며, 유치원 현장 연계 탐방 수업을 통해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의 연계 이해가 부족했던 학습자에서 알찬 알맹이와 같은 유치원교사로 성장하게 될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다고 한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수업 개선에 대한 실천 방법과 ‘만들어가는 수업’ 실현 가능성 및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에 대한 유치원 현장의 협력을 기본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질 높은 예비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이론 수업개선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의 체제적 전환점이 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student agency changes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revealed in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subject at S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56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S University and one professor who is the researcher oneself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class,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ory lectures, on-site field classes, and TBL(Team Based Learning) were used to provide education to children. Research materials include kindergarten visit reports, research participants' PP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presentation and key summaries, learning portfolios, class improvement reflection sheets, and researchers' research notes.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was categorized based on specific concepts and reclassified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Excitement was mainly showed when the exercise of student agency was executed and field visit to kindergartens, and unfamiliarity was expressed through TBL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presentations and discussion classes and learning portfolio experiences. Second, after improv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class, it is said that students came to recognize themselves as learners who formed student agency at the intersection of reflection and practice. I found autonomy like a compass through TBL, and through kindergarten field-related classes, they found themselves as a valuable resource as a early childhood teacher who lacked understanding of the connection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o become a systematic turning point in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improving theoretical classes to train high-qualit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혜선(Hye-Seon Jo). (2024).‘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수업 개선 실천.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8 (1), 87-111

MLA

조혜선(Hye-Seon Jo).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수업 개선 실천."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8.1(2024): 87-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