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iponectin Reference Range설정과 임상적 의의 고찰
이용수 2
- 영문명
- Setting of Adiponectin Reference Range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investigation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김용하(Yong Ha Kim) 오춘순(Choon Soon Oh) 이안나(Ann Na Lee)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12 No.1, 82~87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Bio-energy metabolism control hormone by Adipocytokine is composed with Leptin, Adiponectin, resistin, TNF-a, IL-6. Adiponectin become known to participating in Insulin sensitivity exasperation, Fat metabolism accomodation and inducing metabolic disease such as diabetes mellitus, arteriosclerosis, hyperlipemia. When we accomplished the test with purpose of Research, we observed significance with a result of test related to diabetes mellitus with reference setting by way of suggestion. Methods: Result of normal group (n=100) which is committed in the SCL from September 2006 to December 2006 and result of control group (n=50) relationship examination item that is decided diabetes measures themselves against each other. Also, we measured the normal group against the control group for the reference range of adiponectin. Results: Result in normal group (n=100) appeared by Glucose (reference 70~120 mg/dl) Mean and the SD 96.99 (±24.35), HbA1c (reference 4.0~6.0%) Mean and the SD 5.64 (±0.90), Insulin (reference 2.0~25.0 uIU/ml) Mean and the SD 7.80 (±4.42), the Adiponectin the Mean and the SD 9,861.23 (±4,977.0). Result in control group(n=50) appeared by Glucose (reference 70-120 mg/dl) Mean and the SD 224.95 (5.30), the HbA1c (reference 4.0~6.0%) Mean and the SD 8.22 (1.63), Insulin (reference 2.0~25.0 uIU/ml) Mean and the SD 17.02 (3.01), C-peptide (reference 0.48~3.30 ng/ml) Mean and the SD 7.92 (±7.40), the Adiponectin Mean and the SD 18,110.03 (±12,843.29). Conclusions: Therefore, it seems that test results are significant and we consider that it can be apply to useful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arteriosclerosis, hyperlipemia patients throughout the reference range setting of Adiponectin, Leptin is one of the Bio-energy metabolism control hormone.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ated Cardiac Blood Pool scan에서의 심장 주위 배후방사능 관심영역 설정시 산란선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
- RI사용 의료기관의 효율적인 배기관리 방안
- 갑상선암의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교육
- 동위원소 치료병실의 I-131 배출에 대한 小考
- 방사성옥소 치료를 위한 표준 지침서 개발과 치료병실 환경 개선 연구
- 방사성옥소 치료를 받는 갑상선암 환자의 만족도 개선 연구
- 방사면역측정키트 성능평가 고찰
- Barium 조영제의 농도 차이가 PET 검사에 미치는 영향
- 두경부 혈관종 진단시 99mTc-RBC Scan and SPECT 검사의 유용성
- Adiponectin Reference Range설정과 임상적 의의 고찰
- The Importance of Filter Integrity Test to Ensure Sterility of Radiophamaceuticals for Using PET Image
- 방사성옥소 치료환자의 환의 및 침구류에 대한
- 용혈이 Vitamin B12 / Folic acid 검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
-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병실의 오⋅폐수 저감화를 위한 연구
- 갑상선암의 방사성옥소 치료 후 전신 스캔에서 비타민C 용액을 이용한 식도의 위양성 병소 제거에 대한 고찰
- CA 19-9 검체량에 따른 농도의 변화
- Onco. Flash Processing 적용에 따른 핵의학 영상의 유용성 평가
- ¹⁸F-FDG PET 검사를 위한 당뇨 환자의 혈당 조절에 관한 연구
- 유방암 PET-CT 검사에서 Prone(복와위)자세의 유용성 평가
- 치료병실에서 배출되는 방사성오염 폐기물의 처리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55Fe와 59/63Ni의 화학분리 중 목적원소 및 방해원소 거동 특성 연구
- 진단참고 준위를 적용한 선량 변화에 따른 영상 품질의 변화 평가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