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융합전공의 활성화 방안 연구

이용수 42

영문명
A Study on Strategies for Activation of Convergence Major in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저자명
김인숙(Kim, In-sook)
간행물 정보
『교육컨설팅코칭연구』제8권 제1호, 85~10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융합전공에 대한 현상을 분석하고, 발전 방안을 도출하여 융합전공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대학 학생과 교수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양적자료는 독립표본 t검정,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적용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융합전공 인식 및 참여의지 분석 결과, 융합전공에 대한 인지정도는 학생보다 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필요성 및 진로계발 도움기대는 학생이 교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융합전공 방향에 대한 인식은 학생과 교수 모두 “전공이 연계된 제 3의 전공으로 여러 학문 분야 연계 융합지식 획득 및 융합적 사고의 기회 제공”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융합전공 교육방향에서 학생은 “학생의 관심과 필요에 따라 여러 전공 교과목 수강”, 교수는 “융합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수업”이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셋째, 융합전공 초점에 대해 학생은 “소통과 유연성을 배우는 수업”, 교수는 “내적인 동기 몰입 수업”이 최우선 영역으로 나타났다. 융합전공의 운영을 위해 요구되는 혁신적 요소는 학생과 교수 모두 “수업내용에서의 혁신”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냈다. 넷째, 융합전공의 효과적인 운영 및 활성화에 대한 요구는 학제간 협력 강화, 융합교육 전담 조직 강화, 교수진의 융합교육 역량 강화, 학생 참여 촉진 프로그램 개발, 융합교육 커리큘럼 개발 지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 융합전공을 활성화하기 위한 현장중심의 실천적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융합교육 현장에서 융합전공의 발전 및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 수립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the university's convergence major and to propose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the convergence major by deriving a development plan.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students and professors at University A, and priorities were derived by apply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o the collected quantitative dat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awareness of convergence majors was higher for professors than for students, and the necessity and expectation for career development help were higher for students than professors. Second, in terms of recognition of the direction of convergence majors, “acquiring convergence knowledge linked to various academic field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onvergence thinking” was the highest rate for both students and professors. In the direction of convergence major education, “taking several major subjects according to the interest and need of students” for students and “a class that enables convergence thinking” for professors appeared as priorities. Third, for the focus on convergence majors, “class to learn communication and flexibility” for students and “internal motivation immersion class” for professors were the top priority areas. Innovation in class content” was the highest for both students and professors as an innovation factor required when operating convergence majors. Fourth, the demand for effective operation and activation of convergence majors was found to be strengthening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and strengthening an organization dedic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evidence for the establishment of specific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convergence majors in the field of university convergenc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인숙(Kim, In-sook). (2024).대학 융합전공의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컨설팅코칭연구, 8 (1), 85-106

MLA

김인숙(Kim, In-sook). "대학 융합전공의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컨설팅코칭연구, 8.1(2024): 85-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