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푸드테크 산업의 선택행동 연구
이용수 122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oice Behavior in the Food Tech Industry: Focusing on the Expanded Theory of Reasoned Action (ETRA) of Food Therapy Users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 저자명
- 황금주(Keumju Hwang)
- 간행물 정보
- 『전자무역연구』제22권 제1호, 111~13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푸드테라피 이용자의 확장된 합리적 행동이론(ETRA)을 중심으로 푸드테크 산업의 선택행동을 분석하였다.
푸드테라피 이용자 20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12월 4일부터 12월 23일까지 20일간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3.0%에 해당되는 460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확장된 합리적 행동이론(ETRA)에 기반한 조절효과모형을 개념적 연구모형으로 설계하였으며, 개념적 연구모형을 설계하기 위해 총 35개 항목을 조사하였고, 7개의 관측변수와 4개의 잠재변수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였다.
확장된 합리적 행동모형(ETRA)에서 푸드테라피는 조절효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테라피 이용자가 신체적 테라피 이용자보다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이용의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조절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푸드테크 산업에 대한 거시적 관점에서 계량분석과 미시적 관점에서 푸드테라피 사업에 대한 실증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푸드테크 산업에 대한 법과 제도적 지원, 대체식품 시장의 활성화 및 촉진방안, 푸드테크 산업의 글로벌 밸류체인 구축, 푸드테라피 사업의 공급체인관리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hoice behavior of food therapy users in the food tech industry, focusing on the expanded theory of rational action (ETRA).
A survey was conducted on 2,000 food therapy users for 20 days from December 4 to December 23, 2023, and 460 questionnaires, or 23.0%,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is study designed a moderating effect model based on the extended theory of rational action (ETRA) as a conceptual research model. A total of 35 items were investigated to design the conceptual research model, with seven observed variables and four potential variabl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ied using variables.
Food therapy was found to act 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extended rational action model (ETRA). The moderating effects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and behavior were found to be higher for psychological therapy users than for physical therapy users.
This study presented policy implications on the ne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food tech industry from a macro perspective and empirical research on food therapy business from a micro perspective, as well as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food therapy industry and alternative foods. Policy implications for market revitalization and promotion, establishment of a global value chain in the food tech industry, and supply chain management of the food therapy busines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NEW
- 미국의 러시아 경제제재로 인한 글로벌 알루미늄 시장의 리스크 및 대응 방안
- 중국의 주요 대학 무역학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중국 P2P 대출 산업의 급성장과 쇠퇴 : 구조적 리스크 요인 및 정부 규제 문제점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