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주요 대학 무역학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Department of Trade in China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무역연구소
- 저자명
- CHENG LU
- 간행물 정보
- 『Asian Trade Risk Management(ATRM)』제7권 제1호, 22~46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대학의 무역학과 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중국 주요 대학의 무역학과 구조와 운영 현황을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외경제무역대학교, 남개대학교, 남경대학교, 북경대학교 등 중국의 12개 주요 대학의 무역학과 교과목과 교수진 구성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임성철(2024)의 한국 무역학과 교과목 자료를 바탕으로 양국의 무역학과 교육 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분석과 데이터 비교를 통해 중국과 한국의 무역학과 교과과정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국 모두 기초 경제학 과목과 국제무역 이론 과목을 필수적으로 개설하여 경제학의 기본 개념과 국제무역의 원리를 교육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둘째, 중국 무역학과는 디지털 무역과 관련된 과목을 심도 있게 개설하여 최신 디지털 기술과 무역의 연계를 강조하는 반면, 한국 무역학과는 무역 관련 법규와 재무 및 회계 과목에 중점을 두어 실무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수진 구성에서는 중국의 서남재경대학교 등 대학교에서 다양한 교수진을 보유하고 있고, 디지털 무역 관련 교육 역량을 보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and organized the structure and operating situation of trade departments at major Chinese universities to presen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rade and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Korea. First, it introduced the types of master's courses in general subjects in China. Through the two ways of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s Official and Private Ranking, selected international economy and trade and the Top 10 among numerous universities, introducing the opening and faculty of 12 schools. He also looked at the state of China's trade and master's degree. He explained the establishment of the MIB master's degree in international trade at the University of Foreign Economics, Nanjing University, and Nanjing Univers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mong the 12 universities. Also, it was compared with The Korean Department of Trade's cours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Chinese MIB Master emphasizes practicality, and the Master of International Trade of the University of Foreign Economics and Trade, Nanjing University, and Nanjiang University are all political and Marxist philosophy, foreign languages, and economics as compulsory subjects, each school has different elective subjects. Referring to the study on the Korean Department of Commerce in Imsing-ju (2024), we also looked at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departments of commerce in China and Korea. Korean trade and official names are numerous, and Chinese names are unified. The number of trade departments in Korea is decreasing, but China has remained the same. The trade departments of the two countries have been investigated into the fact that in the future, digital trade will be the focus of family restructuring.
목차
Ⅰ. 서론
Ⅱ. 중국의 석사과정 제도와 무역학과 개설 현황
Ⅲ. 중국과 한국의 무역학과 석사과정운영 현황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NEW
- 미국의 러시아 경제제재로 인한 글로벌 알루미늄 시장의 리스크 및 대응 방안
- 중국의 주요 대학 무역학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중국 P2P 대출 산업의 급성장과 쇠퇴 : 구조적 리스크 요인 및 정부 규제 문제점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