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뭄 시나리오 기반의 산불 위험성 분석에 관한 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Study on Forest Fire Risk Analysis Based on Drought Scenario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경훈(Kyunghun Kim) 안현빈(Hyoenbin Ahn) 김주환(Ju-hwan Kim) 이태우(Taewoo Lee) 김형수(Hung Soo Kim)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4권1호, 7~1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세계적으로 산불 재난이 발생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가뭄과 산불이 연계되어 이전보다 큰 규모로 발생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이러한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지금까지는 가뭄과 산불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들만이 수행되어 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뭄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가뭄이 산불 발생 위험성을 얼마나 증가시키는 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2022년 많은 산불피해가 발생한 경상북도를 대상으로 30년 빈도의 가뭄 시나리오를 정의하고, 캐나다의 산불위험 평가시스템에서 활용하고 있는 산불 기상지수(Forest fire Weather Index, FWI)를 산정하여 산불의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30년 빈도의 가뭄 시나리오에 의해서 발생한 강우량은 연평균 강우량의 52%에 해당하는 581 mm로 산정되었으며, AFWI (Averaged Fire Weather Index)보다 DFWI (Drought Fire Weather Index)가 약 1.6배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가뭄 시에 산불의 위험성이 얼마나 증가되는 지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가뭄 발생 시에 가뭄뿐만 아니라 산불에 대한 대책이 같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number of forest fires is increasing worldwide owing to climate change. Forest fires linked to drought are becoming more frequent and severe than ever before. This causes massive damage. However, instead of quantificatio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rought and forest fires. Therefore,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d the increase in forest fire risk based on a drought scenario. We defined a 30-year frequency drought scenario for the Gyeongsangbuk-do Province, where the most forest fire damage occurred in 2022, and analyzed the risk of forest fires by calculating the Fire Weather Index (FWI) used in the Canadian Forest Fire Danger Rating System (CFFDRS). The precipitation in the drought scenario was 581 mm/year that was equivalent to 52% of the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We noted that the drought Fire Weather Index (DFWI) was approximately 1.6 times greater than the average Fire Weather Index (AFWI). We quantitatively confirmed the extent to which the risk of forest fire increased under the influence of drought. Therefore,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not only for drought but also for forest fires when a drought occurs.
목차
1. 서 론
2. 방법론
3. 대상지역 및 데이터 수집
4. 가뭄 시나리오기반의 산불위험도 분석 결과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화재 위치 산정기술 향상을 위한 CCTV 지도 작성 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4권1호 목차
-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 관리정책 개선을 위한 연구
- 가뭄 시나리오 기반의 산불 위험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일산화탄소 경보기의 내한성 특성 및 저온시험기준 적절성 분석
- 물류시설 피난안전성 향상을 위한 피난로 설계의 국내·외 기준 비교연구
- CLSM을 사용한 강관파일의 구조적 특성
- 2중 완충, 2중 방호가 가능한 안전방호통로 개발 및 적용
- 길이 조절이 용이한 경량 잭서포트 개발
- 농업용 저수지 등 인공계 요소를 고려한 유역 물순환 모의에 관한 사례 연구
- 드론 기반 딥러닝을 활용한 교차로 교통 데이터 분석
-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호우재해 피해특성 예측 연구
- 잭서포트 충격흡수장치의 하중분산효과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