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법률의 변경과 법률의 시적 효력

이용수 17

영문명
Alteration of the existing Law and Validity of Law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저자명
김혜경(Hyekyung KIM)
간행물 정보
『원광법학』제39권 제4호, 91~11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피고인에게 유리하도록 형이 가벼운 법을 적용하는 것이 죄형법정주의의 당연한 요청이라면, 형법 제1조 제2항은 제1항과 마찬가지로 선언적이고 주의적인 규정일 뿐이다. 그 결과 제1조 제1항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헌법에 의하여 당연히 행위시법주의를 적용하여야 하는 것처럼, 제1조 제2항이 없더라도 법률의 변경이 있는 때에는 형의 경중을 비교하여 보다 유리한 법을 행위자에게 적용하여야 하는 것이 법원의 임무이다. 그러나 한시법은 위와 같은 죄형법정주의 또는 행위시법주의의 요청이 아니기 때문에 형법에 특별한 규정이 없더라도 당연히 행위시법 또는 보다 경한 법이 적용된다는 기본원칙이 적용될 수 없는 영역이다. 그러나 한시법도 시간적 효력의 한계시점에서는 법이 효력이 없게 된다는 점에서는 법률 상태의 변동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바, 이로 인하여 기존에는 대법원이 법률의 변경과 한시법을 구분함이 없이 모두 동기설을 취하여 왔다. 그러나 대법원은 2022. 12. 22. 선고 2020도16420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해서, 법률의 변경과 한시법을 명확히 구분하고 형법 제1조 제2항의 적용대상은 “법률의 변경”이고, 한시법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견해를 분명히 하였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법률의 개폐와 한시법을 구분하지 않았던 종전의 잘못된 관행은 바로잡았지만, 여전히 한시법의 시간적 효력에 관하여는 논란이 있다. 이에 관하여 최근 대법원의 태도를 비판하는 견해들이 있으나, 만일 대법원이 동 판결에서 한시법의 효력까지도 판단하였다면 “사법적극주의”로서 비판을 받아야만 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해당 사안에서 문제되지 않았던 법조문까지도 법원이 해석에 관여한다면, 사법부가 입법부의 역할까지도 하겠다는 적극적 태도이며, 이는 명백히 삼권분립 원칙에 위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0도16420 판결의 분석에서는 이론적으로 형법 제1조 제2항의 적용과 관련하여 한시법까지도 함께 다룸이 타당하다. 법률의 변동에 의한 법률의 시간적 효력 문제에는 넓게는 한시법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우선 대상판결에 대한 대법원의 태도를 분석하고, 법률의 변경과 법률의 효력 소멸과의 차이를 구분한 이후에, 한시법의 시간적 효력에 대한 형법적 해석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f it is a natural request of criminal justice for the sentence to apply the law with a light sentence for defendant, Article 1, Paragraph 2 of the Criminal Act is only a declarative and cautious provision as in Paragraph 1. As a result, it is the court's duty to apply a more advantageous law to the defendant by comparing the severity of the sentence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law, just as the constitution naturally applies the principle of action even if Article 1 (1) does not exist. However, in some cases, the law restricts the scope of the time effect of the law, which is called the temporary law. However, since the temporary law is not a request for criminal justice as above, the basic principle that the law with a light sentence for defendant is applied cannot be applied even if there are no special provisions in the criminal law. However, the temporary law also seems to have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law in that the law becomes ineffective at the time limit. For this reason, the Supreme Court did not distinguish between changes in laws and temporary laws. However, through the Supreme Court's ruling on December 22, 2022, 2020 Do 16420, the Supreme Court clearly distinguished the change of law from the temporary law, and clarified the view that Article 1 (2) of the Criminal Act is subject to “the change of law,” and the temporary law is not applicable. As a result, the previous wrong practice of not distinguishing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aw and the temporary law has been corrected, but there is still controversy over the temporal effect of the temporary law. In this regard, there are opinions criticizing the recent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 but if the Supreme Court had judged the effect of the temporary law in the 2020 Do 16420 ruling, it would have to be criticized as “judicial activism.” This is because if the court interprets and engages in even the parts that were not problematic in the case, the judiciary is an active attitude to play the role of the legislature. And this clearly violates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Nevertheless, in the analysis of the 2020 Do 16420 judgment, it is theoretically reasonable to deal with the temporary law in relation to the application of Article 1 (2) of the Criminal Act. This is because the problem of the temporal effect of the law due to changes in the law includes the temporary law. Therefore, first of all, the Supreme Court's attitude to the target judgment is analyzed, and after distinguish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ange of the law and the expiration of the law's effect, the criminal interpretation of temporary law is analyzed.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대법원 판결에 대한 분석
Ⅲ. 법률의 변경과 경과조치
Ⅳ. 협의의 한시법과 형법 제8조의 적용
Ⅴ. 나가며: 사법적극주의의 지양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경(Hyekyung KIM). (2023).법률의 변경과 법률의 시적 효력. 원광법학, 39 (4), 91-113

MLA

김혜경(Hyekyung KIM). "법률의 변경과 법률의 시적 효력." 원광법학, 39.4(2023): 91-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