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리스도교 종말론과 한국 사회의 변동
이용수 43
- 영문명
- The Christian Eschatology and Social Changes in Korea: A Religious Sociological Perspective
- 발행기관
- 신학과사상학회
- 저자명
- 김선필(Seon Pil Kim)
- 간행물 정보
-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No.89, 174~219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종말론, 즉 ‘마지막 것들’에 대한 종교적 가르침은 인간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희망이다. 따라서 그것은 인간의 집합행동을 추동하고, 사회 변동의 주요 변수로 작용한다. 실제로 종교와 사회 변동의 관계에 대해 관심을 가졌던 많은 학자들은 종교(종말론)가 사회 변동을 억제할 수도 있고, 촉진할 수도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 논문은 그리스도교 종말론과 사회 변동의 관계를 다루기 위해, 기존의 이론적 논의들을 조합하여 종교와 사회 변동의 관계를 이념형으로 유형화했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천주교회가 한국 사회의 변동과 어떤 관계를 맺어왔는지 살펴보았다. 천주교회는 한국 사회가 처했던 시대적 상황과 교회의 가르침을 종합하여 그에 맞는 종말론적 신앙의 성격을 드러냈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와 관계를 맺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아왔다. 특히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한국 천주교회는 세상 속 교회로서 사회 변동을 촉발하는 역할을 담당해오고 있다. 팬데믹 이후, 공적 종교로서 역할을 강하게 요구받고 있는 천주교회는 한국 사회 안에 하느님의 나라가 도래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으로 예언자적 소명을 수행해 나아갈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eschatology is the ultimate hope that man aims for. Therefore, it drives human collective behavior and acts as a major variable of social change. In fact, many researchers who were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eschatology) and social change have confirmed that religion can either suppress or promote social change.
In order to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eschatology and social change, this paper divid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ocial change into ideal types. And through this wor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holic Church and social changes in Korea has been analyzed.
The Catholic Church and Korean society have been mutually influenced, forming relationships each other. And within it, the Korean Catholic Church has shown unique eschatological characteristics in each era. In particular,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Korean Catholic Church has played a role in triggering social change as a Church in the world.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Catholic Church, which is strongly demanded to play a role as a public religion, is expected to carry out its prophetic calling more actively so that the kingdom of God can arrive in Korean society.
목차
1. 서론
2. 종교와 사회변동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탐색
3. 그리스도교 종말론과 사회변동
4. 결론: 아버지의 나라가 오시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애착 외상을 가진 내담자의 정신화를 위한 통합적 심리치료
- 학교 적응이 어려운 초등학교 6학년 남아의 인지 행동 놀이치료 사례연구 :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문제해결력(PSI), ‘양떼를 지켜라’ 문제 해결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