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간의 시작과 끝을 너머 새로운 지평으로

이용수 14

영문명
New Horizon beyond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ime: A Linguistic Examination of the Multilayered, Pluralistic, and Dialogic Features of the Dissemination of Eschatological Time Perspective in the Era of Return
발행기관
신학과사상학회
저자명
주원준(Won Jun Joo)
간행물 정보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No.89, 9~4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묵시문학과 종말론적 세계관이 확산되는 귀환 시대에 시간과 공간의 처음과 끝을 의미하는, 곧 묵시문학적 종말론의 지평을 드러내는 중요한 히브리어 어휘의 의미론적·형태론적·역사적 관찰을 통해 이 시대의 신학이 중층적이고 다원적이고 대화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였음을 제시한다. 유배에서 돌아온 귀환 시대 초기는 이스라엘의 역사에서 신학적으로 가장 생산적인 시기 가운데 하나였다. 이 시기의 히브리어는 중층적이고 복합적이며 다원적 성격이 강화되었고, 묵시문학과 함께 묵시적 종말론이 확산되었다. 고대 이스라엘은 한편으로는 외래어를 수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의 고유한 표현을 재해석하고 새로운 뜻을 추가하며 묵시문학적 종말론의 새로운 지평을 수용했다. 이를테면 시간의 끝을 가리키는 ‘케츠’(קץ)와 ‘아하리트’(אחרית)와 시간의 처음을 가리키는 ‘케뎀’(קדם)과 ‘로쉬’(ראש)와 ‘레쉬트’(ראשית) 등에서 이런 특징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넘는 새로운 용어가 사용되기도 했다. ‘이’(אי)는 이스라엘이 스스로 외부의 경계를 넘어 인식을 확장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또한 이 시기에 아람어에서 수입된 외래어 ‘소프’(סוף)는 분명 종말론적 끝의 시간을 의미했지만, 페르시아에서 온 외래어 ‘파르데스’(פרדס)는 그런 의미를 찾아볼 수 없다. 이런 중층적이고 다원적인 성격은 고대 이스라엘의 문헌이 외부와 끊임없이 대화하고 교류하면서 형성되었음을 알려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ndeavors to elucidate the semiotic, morphological, and historical observations of some Hebrew vocabularies signifying the commencement and culmination of time and space, in the context of the era of return marked by the widespread dissemination of apocalyptic literature and eschatological worldview. The early period of the return, following the exile, stands as one of the most theologically fertile phases in ancient Israel’s history. During this time, the Hebrew language evolved to become more multilayered and diversified, coinciding with the spread of apocalyptic and eschatological thought. Upon scrutinizing such terminology, it becomes evident that ancient Israel, within the purview of apocalyptic eschatology, embraced and assimilated foreign linguistic elements on the one hand, while reinterpreting and infusing distinctive expressions with signification on the other. Some terms like קץand אחרית, for example, signifying the end of time, and ראשית,ראש,קדם, representing the beginning of time, reveal the theological development during this era in multilayered ways. New terminology that crosses the the boundaries of time and space also emerged during the era of return. ‘Island’(אי) signifies Israel’s expansion of awareness beyond geographical limits. Additionally, the loanword סוף, imported Aramaic term, clearly denoted the end of eschatological time, while the Persian loanword פרדס did not yield such meaning. This multifaceted and diversified nature reveals that the documents of ancient Israel were shaped through continuous dialogue and interchange with external influences.

목차

1. 들어가며
2. 귀환시대의 묵시문학과 종말론
3. 시작과 끝 - 시간적·공간적 지평의 확장
4. 결론: 귀환시대의 중층적·복합적·대화적 변화와 바런
5. 보론: 구약성경의 시간관에 대한 짧은 성찰
6.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원준(Won Jun Joo). (2023).시간의 시작과 끝을 너머 새로운 지평으로.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 9-46

MLA

주원준(Won Jun Joo). "시간의 시작과 끝을 너머 새로운 지평으로."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23): 9-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