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파랑 변화 평가
이용수 100
- 영문명
- Assessment of Wave Change consider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 발행기관
- 한국방재안전학회
- 저자명
- 김창겸 이호진 김성덕 오병철 최지은
- 간행물 정보
-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16권 4호, 19~3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래 기후 시나리오에 따르면 우리나라 자연재해의 주요 요인인 태풍의 강도는 강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태풍 강도 증가는 내습 파고 상승으로 이어져 주거, 산업, 관광 등의 용도로 인구 및 건물 밀집도가 높은 연안 지역의 대규모 피해발생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해 해양기상부이 관측자료를 분석하여 최대 유의파고가 나타난 태풍 마이삭(202009) 내습 기간에 대해 파랑추산 수치모형 실험을 수행하였다. 파랑추산실험 경계조건은 JMA-MSM의 바람장과 SSP5-8.5 미래 기후 시나리오의 태풍 중심기압 감소율을 적용한 바람장을 사용하였다. 파랑추산실험 결과 SSP5-8.5 시나리오에서 속초항 방파제 전면에서의 파고는 4.06 m에서 4.68 m로 15.27% 증가하였다. 또한, 심해설계파 147-2 격자점 위치에서의 재현빈도는 최소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산출되어, 현재 해안구조물 설계 시 관행적으로 적용하는 50년 재현빈도 심해설계파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intensity of typhoons, a major factor in Korea’s natural disaster, is expected to increase. The increase in typhoon intensity leads to a rise in wave heights, which is likely to cause large-scale disasters in coastal regions with high populations and building density for dwelling, industry, and tourism. This study, therefore, analyzed observation data of the Donghae ocean data buoy and conducted a numerical model simulation for wave estimations for the typhoon MAYSAK (202009) period, which showed the maximum significant wave height. The boundary conditions for wave simulations were a JMA-MSM wind field and a wind field applying the typhoon central pressure reduction rate in the SSP5-8.5 climate change scenario. As a result of the wave simulations, the wave height in front of the breakwater at Sokcho port was increased by 15.27% from 4.06 m to 4.68 m in the SSP5-8.5 scenario. Furthermore, the return period at the location of 147-2 grid point of deep-sea design wave was calculated to increase at least twic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eep-sea design wave of return period of 50-year, which is prescriptively applied when designing coastal structures.
목차
1. 서론
2. 기후변화 영향 검토
3. 파랑 변화 평가
4.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제로 인한 흐름변화가 어류서식처에 미치는 영향 검토
-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16권 4호 목차
-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파랑 변화 평가
- 토석류 저감시설 적용에 따른 토석류 수치해석에 관한 연구
- 복합재난을 고려한 원자력시설 사고대비 방재계획 수립방안
- 감쇠 구조물에 의한 토석류 토사체적 농도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교량 추정 내하율 판별 정확도 분석
- 오염퇴적물의 주요 영향인자에 따른 메탄발생 생성률 평가
- 개발도상국에 적용 가능한 물수요 예측 방법 연구
- 2차원 모형을 이용한 삼척오십천 소하천 합류 지점 침수해석에 관한 연구
- 드론과 A.I.를 이용한 특수교 주탑부 표면 손상 탐지 방법 연구
- 어린이보호구역 내 보도안전시설(방호울타리) 설치 현황 및 개선 방안
- 포터블 기반 스마트 구조 응답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및 현장 적용성 평가
- OpenGeoSys를 이용한 하굿둑 인근 지하수 내 염분 침투 수치모의
- 3차원 수치모델을 활용한 호안 블록 형상에 따른 하도 내 유속 분석
- 산지지역 개발에 의한 산사태 위험 분석
- 공무원의 재난관리인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CONTINUITY OF INTERTWINING LINEAR OPERATORS WITH SHIFT OPERATORS ON Lp(R)
- SPECTRUM OF LINE ARRANGEMENTS WITH MULTIPLICITIES: A COMBINATORIAL APPROACH VIA LATTICE POINT ENUMERATION
- ENERGY DECAY OF SOLUTIONS FOR THE VISCOELASTIC NONLINEAR EQUATION WITH A INTERNAL TIME-VARYING DELAY TERM AND BOUNDARIES RELATING THE KIRCHHOFF TYPE COEFFICI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