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롱빈 콩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및 NO 생성 억제 효과
이용수 8
- 영문명
- Antioxidant and NO Production Inhibitory Effects of Longbean Ethanol Extract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김미경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4권 제4호, 21~3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2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order to prepare basic data for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longbean (Vigna unguiculata ssp. sesquipedalis) as a possible natural material for functional cosmetics, the study investigated the yield, total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nd the NO production inhibitory effects of an ethanol-produced extract of longbean soybean parts. As a result, the yield of the longbean ethanol extract was found to be 14.93%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confirmed to be 4.36±0.473 mg/g. When the antioxidant effect was measured by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tended to increase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and showed a high scavenging ability of 92.32% at a concentration of 1,000 μg/mL. And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a scavenging effect of 99.81%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and the scavenging effect was equivalent to that of vitamin C.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ntioxidant activity,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showed a higher scavenging effect than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The cell viability of RAW 264.7 cells was 99.82-100.28% up to the concentration of 500 μg/ml, and cytotoxicity was not observed up to 500 μg/ml. The NO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to 81.84% at a concentration of 500 μg/ml.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long bean ethanol extract can be used as a natural material for cosmetics.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demonstrate the physiological activity, such as anti-inflammatory mechanisms,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through component analysis.
목차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계절 색상 이미지를 응용한 판타지 속눈썹 디자인 연구
- 액티브 시니어 여성의 화장품 구매행동 및 메이크업 사용 실태연구
- 뷰티 수요자 중심의 메타버스 적응 요인에 관한 연구
- 네일숍 마케팅 7Ps요인이 구매의도 및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
- 미국 헤어디자이너의 워라벨과 직무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 유튜브의 콘텐츠특성이 소비자의 뷰티 제품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종사자의 외적이미지를 위한 소비행동이 심리적 부담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뷰티학과 전공 대학생의 뷰티디지털 그래픽 융합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연구
- 역핀칭하드젤 관리가 내성발톱 개선에 미치는 효과
- 나무의 사계절 이미지를 모티브로 한 헤어아트 디자인 연구
- 롱빈 콩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및 NO 생성 억제 효과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4권 제4호 목차
- 피부관리실 종사자의 잡 크래프팅이 직무열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미용실 소비가치가 헤어디자이너 신뢰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의 환경가치관이 비건화장품 선호도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여성들의 가발 착용 인식에 따른 가발 구매
- 중년남성의 앞머리 변화가 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있어서 손톱관리사 직업분류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 염색장소에 따른 주관적안녕감 및 모발염색만족의 차이 연구
- 이너뷰티 소재로서 자몽, 레몬 에센셜 오일의 미용관련 생리활성 평가 및 가치성 고찰 연구
- 돌하르방을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