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ssues and methodological discussion on the areas of selection and application process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황정현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22 춘계학술대회, 69~8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시각중복장애학생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영역과 지원과정과 관련된 주요 쟁점을 분석하고 이러한 쟁점이 시각중복장애학생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및 교육적 지원 제공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시각중복장애학생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및 교육적 지원과 관련된 업무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9명을 대상으로 초점 집단 면담하고 그 동안 어떻게 선정과 교육적 지원이 결정되어 이루어져 왔는지를 살펴, 관련된 주요 쟁점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향후 선정과 지원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주요 쟁점으로는 시각중복장애 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 여부 심의 과정에 대한 비판적 접근, 선정 영역에 대한 비판적 접근, 배치 대한 비판적 접근, 교육적 지원과정 대한 비판적 접근, 마지막으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제, 개정과 관련해 준비되어야 하는 것에 대한 비판적 접근 등 5가지 주요 이슈로 분류되어 각각 어떠한 쟁점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지금까지의 시각중복장애학생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과 이를 통한 교육지원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 시각중복장애학생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및 교육적 지원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시각중복장애 학생의 조기 발견이 용이할 수 있도록 선정과정에서의 제출 서류의 적정화 검토, 중도중복장애 선정영역의 재규정, 시각중복장애 선정과 배치에 대한 교사와 부모 교육 기회 마련, 교육지원 절차에 있어 장애의 증명이 아닌 교육적 요구의 증명, 마지막으로 이에 따른 행.재정적 지원체계의 마련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환영사
- 진로와 직업 교과를 가르치는 저경력 교사의 수업 전문성 탐구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가 순회교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지원요구
- [토론] 청각중복장애학생 교육 현황과 교육지원 방안
- 한국특수교육학회 2022년도 춘계 학술대회 목차
- 어느 특수교사의 정신의료기관 내 병원학교에서 첫해를 보낸 경험
- 새로운 전환을 맞은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
- 재택 순회교육을 받고 있는 중도장애 학생을 위한 순회교육제도 발전 방향 탐색을 위한 관련 연구 분석
- 학생 중심 동아리 활동을 위한 특수교사의 협력적 실행 연구
- AAC 중재 활용 주제중심 수업에서 지적장애 중학생의 내러티브 기술 변화
- 장애성인의 리터러시 연구 동향
- 성인발달장애인의 공격행동과 프로그램 참여거부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종사자 지원경험 분석
- [토론] 「새로운 전환을 맞은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 토론문
- 독일 사례를 통해 알아본 우리나라 (최)중도장애학생 특수교육 지원에 대한 시사점
- 신경다양성 학생을 위한 강점 중심 개별화교육계획 방법 탐색
- 모시는 글
- 중증 발달장애(Severe Developmental Disorder)를 가진 학생의 심각한 문제 행동에 대한 통합적 치료접근
- 특수학급 요리활동 운영 실태와 지적장애학생 요리 활동 지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개별화전환교육계획(ITP) 실행 경험과 의미
- 청각중복장애학생 교육 현황과 교육지원 방안
- 시각중복장애학생의 특수교육대상학생 선정영역과 지원과정에 대한 쟁점과 방법론적 논의
- 카페운영프로젝트를 주제로 한 특수학교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활동 운영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 특수학교에서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교육프로그램 참여 경험
- 교육연극 활용 친구 사귀기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성인의 친구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개인중심 ITP 운영을 위한 특수학교 전공과 전문적학습공동체의 협력적 실행연구
- 전문적학습공동체와 함께한 특수교사의 코딩 교육 경험
-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국어과의 각 학년군별 연계성 분석
- 특수교육대상자의 성공적 고교학점제 참여를 위한 연구학교 담당교사의 제안
-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특수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토론] 보편적 교육권이 숨쉬는 시각장애 교육을 바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