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리튬이차전지 시험용 셀의 dFMEA 기반 화재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

영문명
A Study on dFMEA-based Fire Risk Assessment of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Testing Cells
발행기관
한국화재소방학회
저자명
김종구 김형기
간행물 정보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7 No.5, 37~43쪽, 전체 7쪽
주제분류
공학 > 공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 단계에서 활용되는 리튬이차전지 시험용 셀의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고자 설계 고장형태영향분석(design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dFMEA)을 수행하였다. dFMEA는 전문가 그룹을 통해 시험용 셀을구성하는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액 그리고 셀 설계에 대하여 고장 위험분석, 위험성 평가, 위험우선순위 분석의절차로 실시되었다. 또한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로 구성되는 평가기준의 수준을 3단계로 재정립하여 시험용 셀 적용에 최적화하였다. 고장 위험분석 결과, 총 11건의 고장 원인이 도출되었으며, 특히 시험용 셀에 높은 니켈 함량을갖는 니켈-코발트-망간(NCM)계 양극 소재를 적용하거나, 높은 열 수축률 및 낮은 인장강도 갖는 분리막 적용, 전해액 조성 최적화 오류가 존재할 때, 폭발 및 열폭주 발생이 예측되어 위험우선순위 분석에서 화재 위험성이 높은 중위험군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연구개발 단계에서 시험용 셀 제조시 소재의 상호 반응성 및 예비 물리화학적 물성분석과 화재 피해 저감을 위한 안전장비 구축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Design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dFMEA)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fire risk of lithium-ionsecondary battery testing cells used dur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stage. dFMEA was used for the failure riskanalysis, risk assessment, and risk priority analysis of the anode, cathode, separator, electrolyte, and cell design of thetesting cell. In addition, the evaluation criteria, including severity, occurrence, and detection, was reorganized into threecategories and optimized for the testing cell application. Based on the failure risk analysis, a total of 11 causes of failurewere identified. In particular, explosion and thermal runaway were predicted when a nickel-cobalt-manganese (NCM)-basedanode material with a high nickel content was used, the separator had a high thermal contraction rate and low tensilestrength characteristics, and there were errors in the electrolyte composition optimization. This cause of failure was classifiedas a moderate risk with a high fire risk by the risk priority analysis. Therefore, at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stage, itis critical to evaluate the mutual reactivity and preliminary physical properties of battery materials and to construct safetyequipment to reduce fire damage.

목차

1. 서 론
2. 연구절차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구,김형기. (2023).리튬이차전지 시험용 셀의 dFMEA 기반 화재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37 (5), 37-43

MLA

김종구,김형기. "리튬이차전지 시험용 셀의 dFMEA 기반 화재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37.5(2023): 37-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