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지역 고등학교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전환교육 지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20

영문명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Guidance Experiences of Jeju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강윤진 이인회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6권 제3호, 91~11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주지역 고등학교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전환교육에 대한 지도 경험을 살펴보고 전환교육에 대한 새로운 실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주지역 고등학교 특수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Colaizzi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4가지 범주인, ‘전환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학생이 참여하는 전환교육’, ‘가정과 마을(지역사회)의 긴밀한 협력’, ‘전환교육의 지도 실천과 지원 과제’로 분류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를 포함한 학교, 가정 및 마을(지역사회)의 3주체와 지원체계가 협력적으로 실천하는 전환교육이 되어야 한다. 둘째, 장애학생 전환교육은 학생의 역량을 강화하고, 학생들이 미래를 주체적으로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장애학생 전환교육 지도를 위해서는 학교, 교육청, 지자체, 마을(지역사회) 내 기관의 행정적 지원 및 정책적 의지, 그리고 지역 중심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환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특수학급 장애학생 전환교육 지도에 대한 어려움과 특수교사의 노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전환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uidance experiences of Jeju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seek new practical directions for this servi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conduc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se interviews were classified using Colaizzi's analysis method,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eachers’ perception of transition education; students’ participation with transition education; cooperation between family and village (community); and transition education practice and support task. The main conclusion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First,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work cooperatively with teachers, families, the village (community), and other support systems. Second,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serve to strengthen students’ competencies and enable them to independently shape their own future. Third, transition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developed with administrative support and the policy of schools, the local office of education, local governments, active institutions in the village (community), and the other regional network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difficulties with implementing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transitio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분석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윤진,이인회. (2021).제주지역 고등학교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전환교육 지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56 (3), 91-118

MLA

강윤진,이인회. "제주지역 고등학교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전환교육 지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56.3(2021): 91-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