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한성권번과 권번시조

이용수 23

영문명
Hanseong Gwonbeon and Gwonbeon Sijo in the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 Period
발행기관
한국교방문화학회
저자명
강지혜
간행물 정보
『 교방문화연구』3권 1호, 131~15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일제강점기 한성권번의 성립과정과 권번시조를 살펴보고, 그 내용과 의미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기생제도의 변화 과정을 통해 권번이 설립되는 배경을 살폈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권번인 한성권번의 성립과정을 알아보고 한성권번을 소개한 시조 작품을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 기생은 시대 및 제도와 함께 변화되었다. 관기로 국가의 중요한 역할을 하던 조선의 기생들은 시대의 변화 속에서 그 역할과 의미가 바뀌게 되었다. 전문성을 가진 예인으로 인식되었던 기생은 일제강점기를 거쳐 성적인 이미지가 강조되었다. 기예를 펼치던 기생과 매음을 하던 창기의 구분이 점차 모호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생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기생의 이미지를 왜곡하고 부정적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기생은 변화된 사회와 제도 안에서 자신들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자 했다. 한성권번의 기생들은 조합과 권번이라는 제도 안에서 자신들의 기예를 갈고 닦으며 다양한 사회 활동을 펼쳐 나갔다. 이들의 활동은 당시 신문 매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그 내용을 통해 한성권번의 기생들이 예인으로서의 전통성을 계승하고자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생들 스스로 창기와 명확히 구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조 작품에서는 비유 및 상징을 통해 한성권번을 표현하고 있으며, 대구 형식으로 문답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조선시대 시조 작품에서 자주 사용되는 특징으로 해당 작품들이 조선시대의 시조 양식을 따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Hanseong Gwonbeon (government female entertainers guild) and Gwonbeon Sijo in the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 period, and to understand its contents and meaning. First, this study looked at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of Gwonbeon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Gisaeng (government female entertainers) system. Next, this study looked into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Hanseong Gwonbeon, Korea’s first Gwonbeon, and looked at Sijo works that introduced Hanseong Gwonbeon. In the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 period, Gisaeng changed along with the era and system. Joseon’s Gisaeng,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ountry as official-government-gisaeng, changed their role and meaning with the change of era. Gisaeng, who was recognized as a professional entertainer, had a sexual image emphasized through the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 period. This is because the distinction between Gisaeng, who practiced skills and arts, and Changgi (prostitute-gisaeng), who engaged in prostitution, gradually became blurred. This change in perception of Gisaeng distorted and made the image of Gisaeng negative. However, in the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 period, Gisaeng sought to discover their own meaning and value within the changed society and system. The Gisaeng of Hanseong Gwonbeon honed their skill-art and engaged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within the guild and system of Gwonbeon. As their activities can be confirmed through newspapers at the time, through the contents, it can be found that the Gisaeng of Hanseong Gwonbeon attempted to inherit the tradition as art entertainment professionals. It can be seen that Gisaeng clearly distinguish themselves from Changgi (prostitute-gisaeng). The works of Sijo express Hanseong Gwonbeon through metaphors and symbols, and take the form of a question and answer in the form of a couplet. This method is a frequently used feature in the works of Sijo in the Joseon er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se works follow the style of Sijo in the Joseon era.

목차

1. 서론
2. 일제강점기 권번의 성립 배경
3. 한성권번과 권번시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지혜. (2023).일제강점기 한성권번과 권번시조. 교방문화연구, 3 (1), 131-150

MLA

강지혜. "일제강점기 한성권번과 권번시조." 교방문화연구, 3.1(2023): 131-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