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etween Development and Regulation: The Failure of South Korea’s 5G Policy
- 발행기관
- 한국세계지역학회
- 저자명
- 안준수 정주연
- 간행물 정보
- 『세계지역연구논총』제41집 제3호, 91~127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3년 5월, 5G 사업의 핵심과제였던 28㎓ 대역 기지국구축이 무산된 것은 정부주도의 정보통신산업정책을 수차례 성공시킨 바 있는 한국에서 매우 이례적인 사건이다. 당시 정보통신산업 주무부처는 대규모 투자를 진행해야 하는 통신사에 요금 인하를 압박함으로써, 통신3사 모두가 기지국구축을 포기하는 초유의 결과를 초래했다. 이 논문은 그 원인을 급속도로 정책자율성이 약해진 정보통신산업 주무부처들이 정치권, 특히 청와대의 선호에 따라 양립하기 어려운 진흥과 규제정책을 병행 추진함으로써 첨단산업의 고위험을 사회화하지 못했고, 기존에 정보통신산업 발전을 뒷받침하던 국가와 기업 간의 발전연합에 균열을 가져왔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국가의 개입과 규제가 강한 정보통신산업에서 발생한 5G 정책의 실패는 한국의 산업발전모델이 경로의존성을 벗어나 새로운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actively pursued the development of the ICT industry, especially focusing on the 5th-Generation (5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s an engine of the nation’s future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in 2023, the Korean government failed to build 5G infrastructure, particularly 5G base-stations using 28㎓ frequency band, which is a rare case in the history of Korea’s ICT industrial policie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technocracies, who gave in to the politicians’ policy preference for regulation, were caught between the incompatible policy goals of investment expansion and price reduction. The consequence was the weakening of the state-business coalition that used to support Korea’s successful ICT industrializ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Korea’s industrial development model began to deviate from its path dependency.
목차
Ⅰ. 서론
Ⅱ. 정보통신산업정책의 우선순위와 5G 정책
Ⅲ. 정치권의 선호 변화
Ⅳ. 주무부처의 선호이동과 5G 정책의 실패
Ⅴ. 통신사의 선택
Ⅵ.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Financial Inclusion: Through the Case of Mobile Money Account in Senegal
- 진흥과 규제 사이
- 중미 글로벌-지역 이중 극체제로 본 북중관계
- Clearing Hurdles: Foreign Aid, Expropriation Risk, and FDI Inflows in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 2012~2022년 남북한 해양산업법제 변화 비교연구
- 카자흐스탄 엘리트 정치 구조의 변화
- 기억의 국제정치와 국내정치적 요인 연구
- 국제사회의 사법독립성 확산노력과 시민사회
- North Korea's System Transition: Conditions, Possibilities, and Countermeasures
- 세계지역연구논총 제41집 제3호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