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창의성과 환경 연구의 지식구조 탐구

이용수 42

영문명
Investigat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Creativity and Environment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저자명
안동근 한지수
간행물 정보
『창의력교육연구』제23권 제3호, 59~7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창의성과 환경에 관한 국내 연구의 지식구조를 탐색하고 이에 대한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20년간 출판된 연구논문 중 창의성과 환경을 탐구한 176개의 논문을 수집하여 477개의 주제어를 추출하였다. 이 중 2회 이상 출현한 77개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연결중심성 및 매개중심성 분석과 커뮤니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결중심성 분석결과, 창의성, 창의적 환경, 창의적 가정환경, 가정환경, 창의적 사고, 창의적 리더십, 창의인성 등이 높게 나타났고, 매개중심성에서는 창의성, 창의적 가정환경, 창의적 환경, 창의적 학교환경, 연구동향, 가정환경, 초등교사 등이 높은 지수를 보였다. 커뮤니티 분석결과, 셀프리더십(고립노드), 창의력사고방법원리(창의력학습방법원리), 창의적 문제해결(환경교육, 환경친화적 태도, 환경소양 등), 과학영재(부모, 가정, 학교 등), 조직창의성(개인창의성, 집단창의성, 창의적 연구환경 등), 창의성(창의인성, 창의적 효능감, 교실환경, 창의적 수업환경, 독서환경 등), 창의적 환경(창의적 사고, 창의적 산물, 창의적 인성, 창의적 과정 등), 가정환경(학교환경, 직무환경, 유아 창의성 등), 창의적 가정환경(창의적 학교환경, 창의적 작업환경, 창의적 성향 등)을 중심으로 하는 9개의 하위 커뮤니티가 형성되었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제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structure of creativity and environment research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propose a future study direction.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a total of 477 keywords from 176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South Korea during the past 20 years from 2003 to 2022 that investigated creativity and environment. Then a total of 77 keywords represented more than twice among them were analyzed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including degree and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and community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included creativity, creative environment, creative family environment, family environment, creative thinking, creative leadership, creative personality, and so on. The keywords with high betweenness centrality included creativity, creative family environment, creative environment, creative school environment, research trend, family environm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o on. From the community analysis, nine sub-groups were made focusing on self-leadership (isolated node), creative thinking principles (creative learning principles), creative problem solving (environment education, environmental attitudes, environment literacy etc.), science gifted students (parents, family, school etc.), organizational creativity (individual creativity, group creativity, creative research environment etc.), creativity (creativity characteristics, creative efficacy, classroom environment, creative class environment, reading environment etc.), creative environment (creative thinking, creative product, creative characteristics, creative process etc.), family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task environment, infants creativity etc.), and creative family environment (creative school environment, creative task environment, creative orientation etc.).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동근,한지수. (2023).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창의성과 환경 연구의 지식구조 탐구. 창의력교육연구, 23 (3), 59-79

MLA

안동근,한지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창의성과 환경 연구의 지식구조 탐구." 창의력교육연구, 23.3(2023): 59-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