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수학 영재아의 수학적 정당화에 대한 인식과 특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for Gifted Student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홍영석 손홍찬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4권 제3호, 261~28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학교 수학 영재학생의 수학적 정당화에 대한 의미 인식과 수학적 정당화의 특성을 파악하여 정당화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17명의 중학교 수학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검사지를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영재학생들은 수학적 정당화에 대하여 입증, 체계화, 발견, 지적 도전과 같은 다양한 의미로 정당화를 인식하였고, 연역적 정당화의 선호도가 높았다. 실제 정당화 활동의 결과, 대수와 기하 문항 모두에서 연역적 정당화가 많았지만 대수 문항에서는 경험적 정당화도 많은 반면 기하 문항에서는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연역적 정당화를 완성한 경우, 자신의 정당화에 만족함을 보였지만 수학적 문자와 기호를 사용하여 명제의 일반성을 연역적으로 정당화를 하지 못한 경우에는 불만족을 보였다. 연구 결과는 영재학생들이 경험적 추론의 유용성과 한계를 깨닫고 연역적 정당화를 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대수적 번역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당화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d the meaning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for middle school math gifted students. 17 middle school math gifted students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s and written exams. Results show that the gifted students recognized justification in various meanings such as proof, systematization, discovery, intellectual challenge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and the preference for deductive justification. As a result of justification exams, there was a difference in algebra and geometry. While there were many deductive justifications in both algebra and geometry questionnaires, the difference exists in empirical justifications: there were many empirical justifications in algebra, but there were few in geometry questions. When deductive justification was completed, the students showed satisfaction with their own justification. However, they showed dissatisfaction when they could not deductively justify the generality of the proposition using mathematical symbol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justification education that can improve algebraic translation ability is necessary so that gifted students can realize the limitations and usefulness of empirical reasoning and make deductive justif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