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의적인 업무에서 개인의 외향성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팀내 개인의 영향력에 미치는 영향: 음성 센서를 활용한 팀내 개인의 발언 패턴의 매개효과

이용수 153

영문명
The effects of extroversion and Creative self-efficacy on perceived influence in the creative project team: the mediating role of individual speech patterns using voice sensors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이선우 홍운기 정원준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제47집 3권, 23~4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머신러닝, 빅데이터 및 센서 등 정보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데이터 수집과 실시간 분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기술은 경영학 및 인사조직연구 분야에 있어 기존의 이론을 새로운 관점에서 실증하고 확장시키는 기회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테블릿을 통해 음성 패턴을 수집/분석하는 앱을 제작하고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인 업무에서 개인 발언의 패턴(발언의 비율)이 팀내영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지위 특성 이론(status characteristic theory)을 바탕으로 개인의 상대적 발언의 양이 팀원의 외향적 성격과 영향력의 관계를 매개한다고 주장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팀 대화의 패턴과 영향력의 관계를 조절한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경남지역 대학생 117명 39팀을 대상으로 설문과 테블릿의음성앱을 활용한 창의적 업무 실험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창의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팀에서 외향적성격과 팀의 영향력은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상대적 발언 비율은 외향성과영향력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하였다. 또한 조건부 간접효과에 있어서 ‘외향성→상대적 발언의 비율→ 영향력’의 간접적인 영향(매개효과)은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팀에서 어떤 구성원이 어떻게 영향력을 가지는지 그리고팀내 상호작용에서 어떠한 개인의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팀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적확장과 함께 음성 센서를 활용하여 역동적인 팀내 상호작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e.g., machine learning, big data, and sensors) enables us to collect granular data for analysis. The usage of such technology has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current understanding in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We developed and validated the voice detection algorithm to examine member influence in creative team tasks. In particular, we tested the effect of extravert personality as social cues on the team member influence via a mediating mechanism of individual speech patterns using the voice detection technology. We further hypothesized that creative self-efficacy moderates the mediation effect of the speech patterns between extravert personality and member influence. To test our theoretical model, we conducted a creative task experiment using voice detection sensors with a sample of 117 student members in 39 work team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xtravert personal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members’influence in teams. In addition, members’relative ratio of speaking time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vert personality and member influence. Finally, we fou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embers’creative self-efficacy, that weakened the mediation relationship of the relative speaking time extravert personality and member influe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eam dynamics by capturing real-time conversation patterns. We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우,홍운기,정원준. (2023).창의적인 업무에서 개인의 외향성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팀내 개인의 영향력에 미치는 영향: 음성 센서를 활용한 팀내 개인의 발언 패턴의 매개효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7 (3), 23-42

MLA

이선우,홍운기,정원준. "창의적인 업무에서 개인의 외향성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팀내 개인의 영향력에 미치는 영향: 음성 센서를 활용한 팀내 개인의 발언 패턴의 매개효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7.3(2023): 23-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