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 자율 교육과정으로 활용 가능한 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105

영문명
Development of a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that will be applied to the Flexible Curriculum in high schools -focusing on inter-Korean trade
발행기관
한국통일교육학회
저자명
김병연
간행물 정보
『통일교육연구』제20권 제1호, 5~45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 통일교육이 가능한 공간을 탐색하여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 교육과정을 검토하여 고등학교에서 통일교육의 실행 공간을 분석하고 수업량 유연화에 따른 학교 자율 교육과정에 통일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어 교수·학습 프로그램 구성의 원칙으로서 구성주의 접근과 역량 함양 중심 접근이 필요함을 밝히고, 수업량 유연화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주제로 남북교역의 의미를 살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남북교역을 주제로 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안하였다.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점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었다. 첫째, 남북관계의 역사에서 교역에 집중함으로써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 탐구를 진행하여 남북관계가 학생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도록 하였다. 둘째, 학생들이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을 잘 이해하고 교류 대상으로서 북한 지역을 함께 탐구하여 교류 협력 모델을 탐구하도록 하였다. 셋째, 학생참여 중심 프로젝트 학습으로 설계하였다. 확산적, 단계적 핵심 질문들을 바탕으로 수업을 전개하다 보면 학생의 관심사를 반영한 교류 협력 프로젝트 기획안을 작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space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high schools and presented a model of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in which students can take the lead.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implementation space of unification education in high schools by reviewing the curriculum and explored the applicability of unification education to the School self-direct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Flexible Curriculum. The study revealed the need for a constructivist approach and a competencies-building-centered approach as principles for organizing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and examined the meaning of inter-Korean trade as a topic applicable to the class load flexibility program.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specific contents of a Flexible Curriculum for inter-Korean trade were proposed. The program was developed with a focus on the following points. First, by focusing on trade in the history of inter-Korean relations, the inquiry was based on historical facts, allowing students to see that inter-Korean relations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lives. Second, students were encouraged to understand their own region and explore the North Korean region as an exchange destination to explore a model of exchange and cooperation. Third, the program was designed as a project learning centered on student participation. As the lesson unfolds based on open-ended questions, students are encouraged to create a collaborative project plan that reflects their interests.

목차

Ⅰ. 서론
Ⅱ. 고등학교에서 통일교육의 가능성 탐색
Ⅲ. 남북교역을 주제로 한 프로젝트형 통일교육
Ⅳ. 남북교역을 주제로 한 통일교육 프로그램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병연. (2023).학교 자율 교육과정으로 활용 가능한 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 통일교육연구, 20 (1), 5-45

MLA

김병연. "학교 자율 교육과정으로 활용 가능한 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 통일교육연구, 20.1(2023): 5-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