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남녀 화자별 가족설화 전승 유형의 차이 고찰

이용수 55

영문명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Transmission Types of Family Tales by Male and Female Speakers Using Text Mining: Focused on ‘daughter-in-law’ Type Tales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한유진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46권, 39~6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구비문학대계』와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실린 ‘며느리’ 설화 전반을 대상으로 남녀 화자별 전승 유형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 기법’과 ‘명사 빈도수에 기반한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남녀 화자별 전승 유형을 시각화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녀 화자 모두 ‘며느리-시아버지’, ‘며느리-시어머니’ 유형을 집중적으로 전승하였음이 확인되었는데 여기서 남성화자는 ‘며느리-시아버지’ 유형, 여성화자는 ‘며느리-시어머니’ 유형을 더 많이 구연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두 유형을 중심으로 남녀 화자별 전승 유형을 비교하였으며 그 차이는 다음과 같다. 먼저 ‘며느리-시아버지’ 유형에서 남성화자들은 <시아버지를 여종과 혼인시킨 며느리>, <사위된 시아버지와 장모된 며느리>, <시아버지 정력을 시험한 며느리>, <글 대구 맞춘 며느리>와 같이 ‘시아버지의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며느리’ 서사를 관심 있게 구연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여성화자는 <며느리 길들인 시아버지>, <방귀 잘 뀌는 며느리>와 같이 방귀조차도 마음대로 뀌기 어려운 ‘며느리의 위치성’을 보여주는 이야기를 비중 있게 전승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며느리-시어머니’ 유형은 여성화자들의 집중적 구연 유형으로 이들은 특히 <지렁이국으로 봉양한 며느리>, <시어머니에게 밤 삶아준 며느리>와 같이 ‘물질적 봉양의 주체가 되는 며느리’의 면모가 드러나는 서사, ‘시집살이의 어려움이 형상화’된 이야기를 관심 있게 전승하였다. 이에 비해 남성화자들은 ‘며느리를 음담의 소재’로 구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in transmission types between male and female speakers regarding the 'daughter-in-law' folktales found in both the Comprehensive Korean Oral Literature and Complementary Edition of Comprehensive Korean Oral Literature. To do this, we visualized and compared the transmission types of male and female speakers using both 'associated word network analysis technique' and 'statistical methods based on noun frequenc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both male and female speakers transmitted the 'daughter-in-law's father' and 'daughter-in-law's mother' types intensively, but male speakers showed more frequent use of the 'daughter-in-law's father' type while female speakers showed more frequent use of the 'daughter-in-law's mother' type. Based on this,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transmission types of male and female speakers with a focus on these two types, and the differenc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aughter-in-law's father' type, male speakers tended to narrate stories in which daughters-in-law solve their fathers-in-law's problems, such as Daughters-in-law who marry off their fathers-in-law to maids, Father-in-law becomes son-in-law and daughter-in-law becomes mother-in-law, Daughter-in-law who tests her father-in-law's virility, and Daughter-in-law who is good at writing with great interest. On the other hand, female speakers tend to transmit stories that show the 'positionality of daughter-in-law,' even with regards to passing gas, such as Daughter-in-law who tames her father-in-law and Daughter-in-law who can pass gas well with significant weight. On the other hand, the 'daughter-in-law mother-in-law' type is mainly narrated by female speakers.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many stories showing 'serving parents with food', such as Daughter-in-law who cooked soup with earthworms to feed her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who boiled chestnuts to feed her mother-in-law. Male speakers, on the contrary, tended to talk about 'sexually objectifying the daughter-in-law'.

목차

1. 서론
2. 텍스트 데이터 분석 과정
3. ‘며느리’ 설화의 남녀 화자별 전승 유형 비교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유진. (2023).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남녀 화자별 가족설화 전승 유형의 차이 고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39-68

MLA

한유진.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남녀 화자별 가족설화 전승 유형의 차이 고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23): 39-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