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 서사에 나타나는 가족주의의 의미

이용수 14

영문명
The Significance of Familism in Pansori Narratives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서유석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46권, 5~3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판소리에 나타나는 가족주의의 의미는 조선후기의 사회적 실상, 그중에서도 변화하는 ‘가족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묘파하고 있다는 데 있다. 조선후기는 국가의 향촌 지배력 강화와 약화된 재지사족의 경제적 지배력과 맞물린 가문의식의 성장으로 가족 관념을 사회와 국가로 확장시키는, ‘가족중심주의’ 혹은 ‘확대된 가족주의’라고 부를 수 있는 새로운 가족주의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인다. 조선후기에 등장한 가문의식과 새롭게 등장한 ‘가족중심주의’의 양상은 ‘가문소설’이라는 판소리 서사와 동시대 존재했던 문예 갈래에서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가족의 문제는 곧 국가의 문제이며, 당대 사회의 유교적 윤리의 틀 안에서 이 모든 문제는 해결되고, 가부장의 부재는 새로운 가부장의 등장으로 질서 있게 교체된다. 윤리적 악인은 개과천선하거나 이야기 속에서 제거된다. 하지만 판소리 서사는 이러한 ‘가족중심주의’를 담아내지 않는다. 판소리 서사의 가족주의는 ‘보편적 가족주의’ 혹은 ‘가족지향주의’라고 부를 수 있는 모습에 가깝다. 가족을 사회의 기본 단위로 보고, 가족이라는 운명 공동체의 행복 안에 가족 구성원의 행복이 함께 놓여 있다고 보는 보편적 가족주의는,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개인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판소리 서사는 무능한 가부장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폭로된 무능한 남성 가부장을 대신하는 존재는 하층 여성 주인공들이다. 이들은 오히려 자신에게 주어지지 않은 조선후기 유교 윤리와 가족주의 이념에 충실한 모습을 보인다. 무능한 남성 가부장을 대신해서 가족을 지켜내거나 스스로 구성하고자 하는 능동적인 모습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판소리 서사의 주인공들이 보여주는 유교적 윤리의식, 혹은 그 윤리의 내면화는 가족을 구성해서 생존을 모색하고자 하는 방편이었을 뿐, 유교 윤리를 지켜야 한다는 당위와는 거리가 멀었을 가능성이 크다. 오히려 당대 사회가 요구하는 윤리의식을 지키지 않아도 될 것처럼 보이는 판소리 문학의 주인공들이 이러한 지배층의 윤리의식을 전유해서, 지배층의 사회적 정치적 행동의 문제점을 공박하고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meaning of familism portrayed in Pansori lies in its accurate depiction of the social reality, particularly the evolving nature of “family”, in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period.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period witnessed the emergence of a new form of familism, often referred to as “family-centeredness” or “expanded familism”, which was intertwined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state's control over rural communities (hyangchon) and the declining economic power of provincial noble families. This led to the growth of familial consciousness and an expansion of the notion of family within both society and the nation. The household-centered awareness that appeared in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newly emerging aspect of ‘family-centeredness’ can be confirmed in the Pansori narratives of ‘family novels’ and the literary branch that existed at the same time. The problems within a family were considered as issues affecting the nation itself, and in the framework of Confucian ethics prevalent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ll these problems were believed to be resolved. In the absence of the patriarch, a new patriarch emerged to ensure a smooth transition and maintain order within the family. The family ideology depicted in Pansori narratives can be described as “universal familism” or “family-oriented ideology”. Universal familism, which views the family as the fundamental unit of society and emphasizes the happiness of family members within the collective happiness of the family as a destiny community, portrays the self-sacrificing individuals for the sake of the family. Pansori narratives expose the incompetence of the patriarch in a candid manner. The presence that replaces the exposed and inept male patriarch is embodied by the lower-class female protagonists. On the contrary, these lower-class female protagonists exhibit a strong adherence to the Confucian ethics and ideology of family values that were not bestowed upon them in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period. That is because they demonstrate an active determination to protect and establish their own families, taking the place of incompetent male patriarch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display of Confucian ethical consciousness by the protagonists in Pansori narratives, or the internalization of those ethics, was primarily a means to establish and seek survival through family formation, rather than a strict adherence to Confucian ethics.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at the protagonists of Pansori literature, who seem to be exempt from the ethical consciousness demanded by contemporary society, actually draw upon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the ruling class, thereby highlighting the problematic aspects of the ruling class's social and political behavior.

목차

1. 서론
2. 가족주의의 연원과 조선후기의 가족주의
3. 판소리 서사의 가족주의
4. 판소리 서사가 보여주는 무능한 가부장의 의미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유석. (2023).판소리 서사에 나타나는 가족주의의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5-38

MLA

서유석. "판소리 서사에 나타나는 가족주의의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23): 5-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