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여행안내서와 기행문으로 본 일제강점기 인천의 관광지 연구
이용수 220
- 영문명
- A Study on the Tourist Attractions in Inch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Seen through the Japanese Tourist Guidebook and Travel Writing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 저자명
- 정치영
- 간행물 정보
- 『기전문화연구』제44권 제1호, 89~11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제는 러일전쟁 이후 일본인의 식민지 관광을 적극적으로 장려하였으며, 이는 일본인의 조선과 만주를 대상으로 하는 해외 관광 붐으로 연결되었다. 일제는 관광의 공급자로서 식민지 관광정책을 수립하고 관광지의 조성에도적극적으로 나섰다. 한편 인천은 개항 이후 서울의 입구 역할을 하는 항구도시로써 도시화가 진행되었으나, 1920년대 이후 관광도시로서의 이미지도 구축되었다. 이 연구는 먼저 관광안내서를 검토하여 일제강점기에 관광공급자가 만들고 추천한 인천의 관광지를 살펴보고, 다시 기행문을 분석하여 당시인천의 주된 관광객이었던 일본인들이 인천의 관광지를 어떻게 이용하였는지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천의 관광지가 시간이 흐름에따라 변화가 있었는지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관광의 공급자가 추천한 인천의 관광지들은 대부분 일제강점기 이후에 조성된 곳이었으며, 일제 통치의정당성과 일본제국의 우월성을 보여줄 수 있는 장소들이 대부분이었다. 인천을 방문한 일본인들은 관광공급자에 제안한 관광지와 관광 일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게 관광하였다. 따라서 일제강점기 인천의 관광은 관광공급자의 의도가 제대로 실현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After Russo-Japanese War, the Japanese regime encouraged its people’s trip to colonies, leading to a boom of overseas trip to Manchuria and Joseon in Japan.
The Japanese regime established tourism policies as suppliers of tourism and actively created tourist attractions. Meanwhile, Incheon was urbanized as a port city that served as the entrance to Seoul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but its image as a tourist city has also been established since the 1920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rst review tourist guidebooks to examine tourist attractions in Incheon created and recommended by tourism suppliers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second, to analyze travel writings to examine how Japanese, who were the main tourists of Incheon at the time, toured Incheon's tourist attractions. In this analysis, we attempted to capture changes over time. As a result, Most of the tourist attractions in Incheon recommended by tourism suppliers were created after Japanese colonial era, and most of them recommended by suppliers of tourism were mostly places justifying the Japanese rule and showing the superiority of imperial Japan. Japanese who visited Incheon did not deviate much from the tourist attractions and tour schedules proposed to tourism suppliers. Therefore, it can be evaluated that Incheon's tourism in a Japanese colonial era has properly realized the intention of the tourism supplier.
목차
1. 머리말
2. 관광안내서로 본 인천의 관광지
3. 기행문으로 본 인천의 관광지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한국고지도연구 제16권 제2호 목차
- 『도로고』(1770)와 『대동지지』 「정리고」(1864)의 도로망 복원과 노선 비교(1) - 경유지를 중심으로
- 읍지에 반영된 현실과 인식 - 『新定牙州誌』 번역 과정에서의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