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에서 자살의 보건경제적 비용 추계
이용수 18
- 영문명
- The Health Economic Cost Estimation of Suicide in Korea
- 발행기관
- 대한사회정신의학회
- 저자명
- 박재영 정상혁 김진학
- 간행물 정보
- 『사회정신의학』제12권 제2호, 78~86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2004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자살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발생률 접근법에 의하여 자살의 보건경제적 비용을 추계 하고자 하였다.
방 법:
통계청에서 발표한 2004년도 자살자 자료를 분석하였다. 비용은 내부적 비용과 외부적 비용으로 나누고 다시 직접비용과 간접비용으로 세분하였다. 내부적 비용의 직접비용은 직접 의료비용인 의료비용과 직접 비의료비용인 응급이송비, 장례비, 수사비 등으로 나뉜다. 내부적 비용의 간접비용은 조시사망비용을 말하는 것으로 인적자본접근방법에 의해 장래기대소득의 현재가치를 산출함으로써 사망의 기회비용을 추정하였다. 외부적 비용의 직접비용은 직접 의료비용인 자살자 가족의 외래진료비, 입원진료 비와 직접 비의료비용인 교통비와 간병비로 나뉜다. 외부적 비용 중 간접비용은 자살자 가족의 가족 구성원 중 한 사람의 자살로 인하여 추가 발생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환자가 입원 할 경우 손실된 작업일수와 외래 방문할 경우 손실된 작업시간으로 인한 작업손실비용을 추계하였다.
결 과:
2004년도 자살자 수는 11,523명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모든 연령대가 생산성을 갖는 것으로 보았다. 한 해 자살로 인한 사회 경제적 비용은 3조8천3백억원~3조8천5백억원으로 추계되었다. 이 연구의 제한점으로 비급여 부분이 누락되었다는 것과 응급 이송비나 장례비 등이 저추계되었다는 것이다.
결 론:
이 연구는 여러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자살로 인한 보건경제적 비용추계에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자살 예방을 위한 사회적 중재의 근거를 제시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imate the health economic cost of suicide in South Korea by using an incidence-based approach.
Methods:We analyzed suicide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rom January 1, 2004 to December 31, 2004. The costs were classified as internal and external costs, and then categorized into direct and indirect costs. The medical service costs paid from suicide attempt to death were considered as the direct medical costs of the internal costs. The direct non-medical costs of internal costs consisted of ambulance, police investigation and funeral costs. The indirect costs of internal costs were computed based on the extent of discounted future earnings. Outpatient and inpatient costs comprised direct medical costs of external costs. The patient’s transportation and care-giver’s costs comprised direct non-medical costs of external costs. The indirect costs of external costs were computed by the extent to which loss of productivity might have occurred due to changes in mortality according to suicide.
Results:The number of suicide cases in South Korea was 11,523 in 2004. We assumed that all age groups had varying levels of productivity. The annual costs were estimated to be 3,838-3,856 hundred million won. This study’s limitation concerns the exclusion of cost that was not reimbursed. Also, ambulance and funeral costs might have been underestimated.
Conclusion:Our study provides significant data in estimating the costs of suicide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upport reasons for facilitating social intervention to prevent suicide.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 찰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ning in Life Scale for Cancer Patients
- Diminished Compensatory Energy Production Following Hypoxic Stress in the Prefronta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Among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 Prenatal Mental Health and Its Stress-Process Mechanisms During a Pandemic Lockdown: A Moderated Parallel Mediation Mode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